(이서묘포장 부지를 활용한) 혁신공간재생 기본구상 및 타당성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황영모 | - |
dc.contributor.other | 한영주 | - |
dc.contributor.other | 임승현 | - |
dc.contributor.other | 김시백 | - |
dc.contributor.other | 이병훈 | - |
dc.contributor.other | 김수용 | - |
dc.date.accessioned | 2023-08-14T19:30:11Z | - |
dc.date.available | 2023-08-14T19:30:11Z | - |
dc.date.issued | 2020-12-31 | - |
dc.identifier.other | 20SU03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054 | - |
dc.description.abstract | ● 연구배경과 목적 ○ 전라북도 대도약을 위한 혁신공간 재생 대상으로서 도심권에 위치한 도유지인 이서 묘포장 부지의 적극적 활용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음 ○ 이와 같은 배경에서 2019년 '전북대도약정책협의체'의 4대 정책의제 중 하나로 논의한 결과, 이서 묘포장 부지의 혁신재생 컨셉은 전라북도의 지역적 자산인 '농업과 생태'로 집약되었음 ○ 도유지인 이서 묘포장은 부지확보 용이성, 광역적 접근성, 전북혁신도시의 확장성 등 잠재력이 높아 이를 극대화해 지역발전을 선도하는 새로운 전라북도의 명소로 조성하는 기본구상 구체화가 필요한 시점임 ○ 전라북도에 내재해 있는 오랜 역사 · 문화 · 전통을 배경으로 '생태와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결합하고, 농업 · 생태 · 환경을 종합하여 이서 묘포장 부지를 전 세계적 기후위기와 산업문명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혁신공간으로 재생하는 방안을 구체화해야 할 필요가 있음 1970년대부터 지속가능한 개발의 논의가 이어져 왔고 지속가능성을 위한 세계지방정부협의회(ICLEI), UN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등을 통해 실천과제가 모아져 오고 있음 ○ 이 연구는 이러한 전라북도 도정의 추진방향에 근거하여 이서 묘포장 부지를 혁신공간 재생의 거점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본구상을 마련하는데 첫 번째 목적이 있음 ○ 이러한 이서 묘포장 부지 혁신공간 재생의 컨셉트에 맞춰 개발을 해나가는데 있어 정책적인 사업 타당성을 분석하고 기본구상에 따라 구체적인 도입시설을 구상하여 제시하는데 두 번째 목적이 있음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연구개요 제2장. 이서 묘포장 개발여건 분석 제3장. 이서 묘포장 부지활용, 대안검토 제4장. 이서 묘포장 혁신재생, 주요논리 제5장. 생태문명 혁신거점, 기본구상 제6장. 생태문명 혁신거점, 부문구상 제7장. 생태문명 혁신거점, 조성방안 제8장. 생태문명 혁신거점, 타당성 분석 참고자료 부 록 | - |
dc.publisher | 전라북도 | - |
dc.rights | BY_NC_ND | - |
dc.source | /home/dspace/dspace/pdf/ | - |
dc.title | (이서묘포장 부지를 활용한) 혁신공간재생 기본구상 및 타당성 연구 | - |
dc.type | Book | - |
dc.subject.keyword | 생태문명 | - |
dc.subject.keyword | 혁신공간 | - |
dc.subject.keyword | 혁신거점 | - |
dc.subject.keyword | 공간계획 | - |
dc.subject.keyword | 공간재생 | - |
dc.contributor.institution | 전북연구원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