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과 전라북도의 대응과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하의현 | - |
dc.contributor.other | 박세현 | - |
dc.date.accessioned | 2023-10-11T05:47:10Z | - |
dc.date.available | 2023-10-11T05:47:10Z | - |
dc.date.issued | 2023-10-23 | - |
dc.identifier.issn | 2508-688X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148 | - |
dc.description.abstract | 세계 이차전지 산업의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1,363억 달러로 예상되고 연평균 11%씩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우리나라도 이차전지를 첨단전략산업 분야로 설정하고, 최근 전라북도 새만금을 포함한 네 개 지역을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지정하였다.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는 전구체·리사이클링 등 배터리 핵심광물 가공, 그리고 이들의 국내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국가간 기술패권 경쟁이 날로 심화되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이차전지 산업의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광물가공-소재-셀-재활용의 국내 全 밸류체인을 완결하는 것이 필수이다. 만약 이 중 어느 하나에서라도 차질이 발생한다면 우리의 국제경쟁력과 관련 기술의 초격차는 크게 저하될 수밖에 없다. 결국 전북지역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의 성패는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전 국가적인 문제인 셈이다.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가 관련 산업의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계 사업 발굴, 지원체계 구축, 특화단지 확장을 위한 기반시설 확대 등이 필요하며, 특히 글로벌 이차전지 핵심 소재 공급기지 역할을 위한 새만금 트라이포트(공항, 항만, 철도) 등 SOC 사업의 차질 없는 진행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이차전지 산업과 성장 전망 Ⅱ. 새만금 이차전지 산업과 특화단지 현황 Ⅲ.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성과와 파급효과 Ⅳ. 전라북도 이차전지 산업의 대응과제 | - |
dc.publisher | 전북연구원 | ko_KR |
dc.relation.ispartofseries | 이슈브리핑;287 | - |
dc.title |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과 전라북도의 대응과제 | ko_KR |
dc.title.alternative | The Designation of the Saemangeum Secondary Battery Specialized Complex and Policy Considerations for Jeollabuk-do | ko_KR |
dc.type | Article | ko_KR |
dc.subject.keyword | 이차전지 | ko_KR |
dc.subject.keyword | 소재산업 | ko_KR |
dc.subject.keyword | 산업단지 | ko_KR |
dc.subject.keyword | 특화단지 | ko_KR |
dc.subject.keyword | 첨단산업 | ko_KR |
dc.subject.keyword | 새만금 | ko_KR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