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재난안전연구센터 설립 및 발전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승현-
dc.contributor.other김수용-
dc.date.accessioned2024-12-05T02:18:11Z-
dc.date.available2024-12-05T02:18:11Z-
dc.date.issued2024-09-30-
dc.identifier.isbn978-89-6612-540-1 (PDF)-
dc.identifier.other24JU19-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386-
dc.description.abstract● 연구 필요성 ○ 최근 기후변화로 자연재해가 대형화되어 전 세계는 심각한 기후위기 단계로 진입하고 있으며 첨단정보기술 및 기기의 도입과 각종 문화?스포츠 행사로 인한 예측 불가한 신종재난이 발생하여 대규모 인명피해뿐만 아닌 사회경제시스템의 갑작스러운 차단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와 더불어 생활불편 상황이 빈번해지고 있음 ○ 재난의 대형·다양화로 정부 정책은 강화되고 있으나 도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지역의 재난안전 대응역량은 답보상태이며 이에 지역안전수준 향상 및 선제적 재난예방차원에서 전북자치도 재난안전연구센터 설립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함 ● 연구 목적 ○ 지역의 안전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난안전에 대한 주민의 인식 개선뿐만 아닌 지역의 안전 실태에 대한 기초자료의 조사와 축적, 그리고 다양한 재난안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북자치도 재난안전연구센터 설립 및 운영, 중장기적인 발전 방안 제시ko_K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연구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내용 4. 연구 방법 5. 연구 기대효과 제2장 연구동향 및 재난안전현황 분석 1. 선행연구 고찰 2. 관련 법제도 고찰 3. 전북자치도 재난안전 현황 4. 소결 및 시사점 제3장 재난안전 연구조직 분석 및 의견조사 1. 국가단위 재난안전 연구조직 2. 광역지자체 재난안전 연구조직 3. 전북자치도 재난안전조직 및 업무분석 4. 전문가 및 담당자 의견 조사·분석 5. 소결 및 시사점 제4장 재난안전연구센터 설립·운영 및 발전 방안 1. 센터 설립 필요성 및 주요 기능 2. 전북자치도 재난안전연구센터 설립 방안 3. 전북자치도 재난안전연구센터 운영 및 발전 방안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참고문헌 영문요약 (Summary) 부록-
dc.publisher전북연구원ko_KR
dc.relation.ispartofseries정책연구;2024-PR-15-
dc.title전북특별자치도 재난안전연구센터 설립 및 발전 방안ko_KR
dc.title.alternativeEstablishment of Jeonbuk State’s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Center and Relevant Action Plansko_KR
dc.typeBookko_KR
dc.subject.keyword안전관리ko_KR
dc.subject.keyword자연재해ko_KR
dc.subject.keyword재난안전ko_KR
dc.subject.keyword대형사고ko_KR
dc.subject.keyword안전시스템ko_KR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과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