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인문정원 구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동영-
dc.contributor.other허문경-
dc.contributor.other전아람-
dc.date.accessioned2025-01-13T05:21:34Z-
dc.date.available2025-01-13T05:21:34Z-
dc.date.issued2024-12-31-
dc.identifier.isbn978-89-6612-544-9 (PDF)-
dc.identifier.other24GI1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401-
dc.description.abstract● 연구 배경 및 목적 ○ 정부와 지자체는 역사와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에 있지만, 자연, 역사, 문화자원의 총합으로써 인문자원에 대한 특화된 사업은 현재 부재한 상황 ○ 전북특별자치도 설치에 의해 역사적·인문적·지리적 특성을 살려 국가발전과 도민의 복리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권한이양과 특례규정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지역문화를 활용한 콘텐츠, 문화산업, 관광진흥 등의 특례를 발굴하여 추진 중에 있지만, 전북자치도의 인문자원을 활용한 특화발전 전략은 부재 ○ 정부와 전북특별자치도의 역사, 문화정책에서 소외되어 있지만 가장 경쟁력 있는 자원인 인문자원을 특화한 「국가인문정원」의 조성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문자원을 활용한 지역발전전략 제시 필요 ○ 국가인문정원 조성을 위해 전북특별자치도의 인문자원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고 국가시범사업으로써 가장 경쟁력 있는 사업 지역을 설정하고, 국가인문정원의 개념설정과 추진방향 제시ko_K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주요 내용 제2장 국가인문정원 개념 설정 1. 인문의 개념 2. 정원의 개념 3. 인문정원의 조작적 개념 제3장 정책 및 사례 분석 1. 정책 분석 2. 사례 분석 제4장 전북특별자치도 인문자원과 인문정신 1. 전북특별자치도 인문자원 현황 2. 전북특별자치도 인문가치 제5장 국가인문정원 조성방향 1. 국가인문정원 기본방향 2. 공간구상 3. 운영방안 4. 제도적 토대마련 제6장 국가인문정원 기본구상(안) 1. 중점지구형(고대문명의 용광로) 2. 거점연계형(공동체정신의 뿌리로서 한국 도작문명) 3. 선형(문화유산 따라 걷는 전북역사길) 제7장 제언 1. 제언 참고문헌-
dc.publisher전북연구원ko_KR
dc.relation.ispartofseries기획연구;2024-SR-05-
dc.title국가인문정원 구상 연구ko_KR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National Humanities Park Initiativeko_KR
dc.typeBookko_KR
dc.subject.keyword문화자원ko_KR
dc.subject.keyword문화정책ko_KR
dc.subject.keyword문화유산ko_KR
dc.subject.keyword인문자원ko_KR
dc.subject.keyword인문정원ko_KR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기획과제
Files in This Item:
24SR05_24GI11_국가인문정원 구상 연구_김동영.pdfDownload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