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군 제철유적의 현황과 그 의미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곽장근-
dc.date.accessioned2025-04-23T19:30:00Z-
dc.date.available2025-04-23T19:30:00Z-
dc.date.issued2024-12-31-
dc.identifier.citation곽장근. (2024). 무주군 제철유적의 현황과 그 의미. 전북학연구, 13, 1-26.-
dc.identifier.issn2713-5772-
dc.identifier.otherJJS130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437-
dc.description.abstract백두대간 품속 무주군은 금·은·동·철 등 지하자원의 보고이다. 이제까지의 지표조사를 통해 120여 개소의 제철유적이 발견되어 전국 단일 지자체 중 그 수가 가장 많다. 무주군을 가로지르는 남대천을 중심으로 원당천과 구량천 유역에서 제철유적의 밀집도가 높고, 행정 구역상으로는 무주군 무풍면과 설천면, 안성면이 여기에 해당된다. 아직은 다른 지역에 비해 발굴조사가 미진하지만 유적과 유물로 가야·백제·신라를 만날 수 있는 곳이다. 무주 당산리 산성에서 시작하는 한 갈래의 봉화로가 무주 노고산 봉화와 봉화산을 거쳐 장수군 장계분지까지 이어진다. 백두대간 삼봉산에서 나제통문 북쪽 석모산까지 뻗은 산줄기에도 봉화가 배치되어 있다. 5세기 말엽 경 신라가 백두대간을 넘어 무주군 일대로의 진출이 무주 대차리 고분군 발굴조사에서 검증되었고, 무풍면 현내리 산성이 신라 무산성으로 판단된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등장하는 대곡소와 안성소를 철소(鐵所)로 대곡소는 동소(銅所)로 추정된다. 이제까지 무주군이 덕유산 등 ‘청정무주’로 회자되고 있지만 향후 제철유적의 역사성을 고증한 뒤 이를 역사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1. 머리말 2. 무주군 자연환경 및 인문지리 3. 권역의 설정과 제철유적 현황 4. 제철유적의 분석과 그 역사성 5. 맺음말 참고문헌-
dc.publisher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dc.relation.ispartofseries전북학연구; 제13집-
dc.rightsBY_NC_ND-
dc.title무주군 제철유적의 현황과 그 의미-
dc.typeArticle-
dc.subject.keyword가야-
dc.subject.keyword백제-
dc.subject.keyword신라-
dc.subject.keyword제철유적-
dc.subject.keyword백두대간-
dc.subject.keyword덕유산-
Appears in Collections:
전북학연구센터 > 전북학연구
Files in This Item:
JJS1301_무주군 제철유적의 현황과 그 의미_곽장근.pdfDownload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