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2025년 시행계획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수은 | - |
dc.contributor.other | 이강진 | - |
dc.contributor.other | 박자경 | - |
dc.contributor.other | 정미선 | - |
dc.date.accessioned | 2025-04-24T19:30:16Z | - |
dc.date.available | 2025-04-24T19:30:16Z | - |
dc.date.issued | 2024-12-20 | - |
dc.identifier.other | 24SU25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448 | - |
dc.description.abstract | ● 2025년 사업 추진방향 1. 지역산업?정책과 연계한 대학의 RISE계획 수립 ○ 자치단체의 산업 방향과 기업지원 및 정주여건 개선 등 다양한 정책·제도 등을 대학의 RISE 계획과 연계하여 추진 ○ 타부처·지자체·대학 재정지원사업을 효율적으로 연계하여 사업 효과를 높이고, 산업계와 지자체 수요를 반영하여 지역-대학의 동반성장 도모 2. 대학의 특성화 분야 집중 육성 ○ 대학의 강점 분야를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사회와의 협력기반을 강화함으로써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를 통해 대학의 혁신적 발전을 도모 ○ 대학 여건 분석에 따른 RISE 비전·목표 설정과 프로젝트 빛 단위과제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대학별 대표과제를 도출하여 특성화분야 집중 육성 3. 지·산·학·연 협력체계 완성도 제고 ○ 전북 RISE 거버넌스와 대학별 RISE 추진체계를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지속적인 지원과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안정적 운영기반 조성 ○ 각 혁신주체별 인적·물적자원을 상호 공유하고, 협업을 통해 사업 효과확대 및 동반 성장에 기여하는 사업을 적극 발굴 지원 4. 목표 달성도를 높이기 위한 효율적 성과관리 ○ 대학은 자체성과지표를 수립하고 교육부 핵심지표, 지자체 자율지표, 대학 자체지표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전체 RISE의 목표 최종 달성 ○ 전북 RISE의 비전을 실현하고 내실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 중앙-지역-대학 간 협력적 성과관리 체계 구축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지역 현황 및 진단 Ⅱ. 전북특별자치도 RISE 비전 및 목표 Ⅲ. RISE 프로젝트 및 단위과제 Ⅳ. 사업 수행 대학 선정 Ⅴ. 재정 투자 계획 Ⅳ. 사업 운영 및 성과 관리 Ⅵ. 향후 추진 일정(안) | - |
dc.publisher | 전북테크노파크 | - |
dc.relation.ispartofseries | 수탁연구;2024-16 | - |
dc.rights | BY_NC_ND | - |
dc.source | /home/dspace/dspace/pdf/ | - |
dc.title |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2025년 시행계획 | - |
dc.type | Book | - |
dc.subject.keyword | RISE | - |
dc.subject.keyword | 대학지원체계 | - |
dc.subject.keyword | 대학 | - |
dc.subject.keyword | 고등교육 | - |
dc.subject.keyword | 혁신체계 | - |
dc.subject.keyword | 지역혁신 | - |
dc.contributor.institution | 전북연구원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