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 배경
○ 전북특별자치도는 2023년 「K-문화·체육·관광 산업거점, 전북특별자치도」 비전을 선포하였으며, 문화·체육·관광 자산을 지역 고유의 색채를 반영한 글로컬(glocal) 콘텐츠로 재구성하여 국제적 산업거점으로 육성하는 계획을 추진 중임
○ 이런 정책 추진에도 불구하고 전북특별자치도는 여전히 관광자원 콘텐츠화와 글로벌 활용도 측면에서 미흡한 실정임. 특히, 기존 관광정책이 내국인 중심의 지역관광 활성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외국인 대상 인바운드 관광기반은 상대적으로 미비하며, 국제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지역의 전략적 역량도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 상황임
○ 본 연구는 이러한 정책 환경과 현실적 과제를 기반으로, 전북의 관광자원을 글로벌 관광자원으로 전환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전북특별자치도의 특화 자원 중 내재적 가치가 우수한 자원을 중심으로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글로벌 관광콘텐츠로 발전시키기 위한 사업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자 함. 아울러, 종합분석을 기반으로 관광콘텐츠 선정원칙과 절차를 마련하여 전북특별자치도를 대표할 수 있는 글로벌 핵심콘텐츠를 도출하고자 함
○ 이를 통해 K-컬처 본류로서의 전북특별자치도 위상을 강화하고, 관광산업을 미래의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함. 나아가 전북특별자치도가 보유한 가치 있고 매력적인 지역특화자원을 기반으로 창조·생산·체험·소비가 선순환하는 관광거점으로 육성함으로써, 국내외 관광객을 적극 유치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구체적 실행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 목적임
목차
제1장 연구 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3. 연구 내용
제2장 지역특화관광의 개념 및 정책동향
1. 관광산업 변화 및 전망
2. 지역특화관광의 개념
3. 지역특화관광 관련 정책동향
제3장 전북특별자치도 지역특화 관광자원 현황 분석
1. 관광자원 현황
2. 관광자원 실태분석
3. 전문가 심층인터뷰
4. 종합분석
제4장 전북특별자치도 글로벌 관광콘텐츠 추진방향 및 과제
1. 비전 및 목표
2. 추진방향
3. 추진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