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인구유입유형별 지역정착 사례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동영-
dc.contributor.other박지애-
dc.contributor.other최지훈-
dc.date.accessioned2025-07-10T19:30:05Z-
dc.date.available2025-07-10T19:30:05Z-
dc.date.issued2025-06-30-
dc.identifier.isbn978-89-6612-575-3 (PDF)-
dc.identifier.other25JU05-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474-
dc.description.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 현재 정부의 인구정책은 2020년 이후 시작된 본격적인 총인구 감소에 의한 생산인구 급감과 지방소멸 대응을 위해 출산율 회복에 집중하고 있음 ○ 지방인구정책은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출 특히, 20~30대의 인구유출에 의한 급속한 인구감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인구의 유출방지 및 인구유입을 위한 일자리와 교육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상황임 ○ 기존 인구정책 연구는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인구유출 현상과 원인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지방으로 이주를 통한 정착은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지역정착 실증연구는 부재한 상황 ○ 전국적으로 전북자치도 및 시군으로 이동한 총전입자는 2024년 기준 19만 9천 명에 달하며, 이들의 전북전입 사유는 직업, 가족, 주택, 교육 순임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북자치도 정착인구를 일자리, 교육, 귀농·귀촌, 은퇴자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심층인터뷰를 통해 전북자치도로의 인구유입정착을 위한 정책발굴. 세부적으로 전북 정착 사유, 지역이동 경로, 지역선택과 정착 과정의 어려움, 지속적 정착을 위해 필요한 사항 등에 대해 구체적이고, 심도있는 사례조사를 통해 이들이 가진 사회·문화적 속성들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자 함-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3. 연구 기대효과 및 활용계획 4.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제2장 전북자치도 인구이동 현황 1. 전국 시도별 인구이동 현황 2. 전북자치도 인구이동 현황 3. 소결 및 시사점 제3장 전북자치도 인구유입유형별 정착사례 1. 지역정착 유형화 2. 인구유입유형별 정착사례 3. 소결 및 시사점 제4장 전북자치도 지역정착 정책 방안 1. 정책방향 2. 추진과제 참고문헌 영문요약(Summary)-
dc.publisher전북연구원-
dc.relation.ispartofseries정책연구;2025-PR-13-
dc.rightsBY_NC_ND-
dc.source/home/dspace/dspace/pdf/-
dc.title전북특별자치도 인구유입유형별 지역정착 사례분석-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f Regional Settlement Cases by Population Influx Patterns in Jeonbuk State-
dc.typeBook-
dc.subject.keyword인구정책-
dc.subject.keyword인구유출-
dc.subject.keyword인구유입-
dc.subject.keyword정착인구-
dc.subject.keyword인구이동-
dc.subject.keyword지역정착-
dc.subject.keyword지방소멸-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과제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