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시설농업 청년농업인 농산물 유통실태와 개선방안

Title
전북 시설농업 청년농업인 농산물 유통실태와 개선방안
Other Titles
Assessment of the Current Agricultural Distribution Landscape Facing Young Farmers Practicing Protected Cultivation and Relevant Improvement Measures
연구책임자
황영모
연구자
가순호; 정호중
키워드
시설농업, 청년농업인, 유통구조, 유통채널
Issue Date
2025-07-31
Publisher
전북연구원
Series/Report no.
정책연구;2025-PR-14
Abstract
● 연구배경
○ 고령화와 농업인 감소로 인해 청년농업인 육성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 정부가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나 청년농업인 비중 확대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존재함
○ 스마트 농업이 가능한 시설농업은 청년층의 진입과 창업에 매력적인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음

● 연구목적
○ 시설농업 청년농업인은 디지털 역량이 높아 유통·마케팅 측면에서 경영 전략 혁신이 필요함
○ 이들의 농업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유통 전략 실태를 파악하고 정책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결론 및 정책제언
○ 농산물의 판매 구조는 기본적으로 출하물량·출하시기·형태 등에 따라 적합한 출하처 형태가 결정되며, 가격 변동성을 고려해 농가 수취가격 위험을 관리하는 방안이 중요함
○ 전통적 유통채널(도매시장·계통출하)의 이용 수준과 이용 의향 비율이 높지만, 대안적 유통채널(가공·직거래·온라인·직매장)의 출하 선호 비율이 높다는 점에 주목해 대응해야함
목차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과 목적
2. 연구내용과 방법
3. 선행연구의 검토

제2장 청년농업인 특성과 유통채널 경향 논의
1. 시설농업 청년농업인 특성 논의
2. 유통 출하처별 주요특성 검토
3. 농산물 유통채널의 경향 검토

제3장 전북 시설농업 청년농업인 주요 현황
1. 연령·지역별 현황
2. 시설농업 규모 현황
3. 시설조성·품목 현황

제4장 전북 시설농업 청년농업인 유통실태
1. 시설농업 청년농업인 조사개요
2. 시설농업 청년농업인 영농현황
3. 시설농업 청년농업인 유통실태
4. 창업농·승계농에 따른 비교
5. 시설농업 규모에 따른 비교
6. 권역별(지역)에 따른 비교
7. 실태조사 논의와 시사점

제5장 시설농업 청년농업인 유통 혁신 사례
1. 사례검토 개요
2. 사례분석 결과
3. 분야별 혁신 사례
4. 사례분석 논의와 시사점

제6장 시설농업 청년농업인 유통개선 지원 방안
1. 검토와 진단의 종합논의
2. 대응전략 기본구조
3. 시설규모·소득목표 결합 판로 다각화
4. 주류 유통채널 안정화 방안
5. 대안 유통채널 활성화 방안
6. 연구 한계와 향후 과제

참고문헌
영문요약 (Summary)
URI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482
ISBN
978-89-6612-583-8 (PDF)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과제
Files in This Item:
25PR14_24JU21_전북 시설농업 청년농업인 농산물 유통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_황영모.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