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배경
○ 고령화와 농업인 감소로 인해 청년농업인 육성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 정부가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나 청년농업인 비중 확대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존재함
○ 스마트 농업이 가능한 시설농업은 청년층의 진입과 창업에 매력적인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음
● 연구목적
○ 시설농업 청년농업인은 디지털 역량이 높아 유통·마케팅 측면에서 경영 전략 혁신이 필요함
○ 이들의 농업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유통 전략 실태를 파악하고 정책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결론 및 정책제언
○ 농산물의 판매 구조는 기본적으로 출하물량·출하시기·형태 등에 따라 적합한 출하처 형태가 결정되며, 가격 변동성을 고려해 농가 수취가격 위험을 관리하는 방안이 중요함
○ 전통적 유통채널(도매시장·계통출하)의 이용 수준과 이용 의향 비율이 높지만, 대안적 유통채널(가공·직거래·온라인·직매장)의 출하 선호 비율이 높다는 점에 주목해 대응해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