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농경문화도시 조성을 위한 기초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영모-
dc.contributor.other이동기-
dc.contributor.other김동영-
dc.contributor.other배균기-
dc.contributor.other가순호-
dc.date.accessioned2018-01-15T06:10:31Z-
dc.date.available2018-01-15T06:10:31Z-
dc.date.issued2016-12-31-
dc.identifier.isbn978-89-6612-179-3-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356-
dc.description.abstract● 연구목적 ○ 전라북도 발전을 도모할 미래전략 과제로 '전통농경문화도시'를 국가 정책으로 추진해 나갈 논리적 근거와 정책추진의 주요한 세부내용을 구상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음 ○ 첫째, '전통농경문화도시' 구상의 소재이자 자원이 되는 '농경문화'란 무엇인지 의미와 내용을 현대적 관점에서 살펴보면서 그 특징과 주요 컨텐츠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 ○ 둘째, 농경문화의 현대적 활용과 적용이라는 관점에서 현대사회의 문제를 시정하고 해결하는 중요한 동력으로 농경문화의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음 ○ 셋째, 농경문화를 매개로 한 '전통농경문화도시'의 개념과 특성이 어떠하며 구체적인 실체는 무엇인지 기본적 구상을 통해 미래전략 과제로의 정책적 추진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함 ● 연구의 주요내용 ○ 첫째, 농업을 통해 형성되어온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행동양식으로서 농경문화의 성격과 의미,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하는 단계로 이 연구에서 상정할 농경문화 컨텐츠의 근거를 파악하는 영역 ○ 둘째, 농경문화를 왜 유지시키고 현대적으로 활용하여 어떠한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 내야 하는지 논리적 근거로 농경문화 유지와 농경문화 활용의 이론적 자원을 검토하여 시사점을 살펴보는 영역 ○ 셋째, 농경문화를 소재로 하여 지역발전의 실효적인 전략과제로 추진해 나갈 '전통농경문화도시'의 개념과 성격, 구성요소와 작동체계, 핵심 컨텐츠 등을 검토하여 기본구상 수준으로 설정하는 영역 ○ 넷째, '전통농경문화도시'의 기본구상에 입각하여 세부적 구성요소별 주요내용을 사업단위로 구체화하여 주요내용을 마련하는 영역 ○ 이와 함께 '전통농경문화도시'를 국가단위 정책으로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화 방안을 부가적으로 검토하고 현실적 추진전략을 제안하는 영역 ● 연구관리 코드 : 16GI06-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과 목적 2. 연구내용과 방법 제2장 농경문화의 의미와 내용 1. 농경문화의 성격 2. 농경문화의 발전과정 3. 농경문화의 내용 4. 농경문화 관련 제도 제3장 농경문화 활용전략 이론 1. 농경문화 유지의 이론적 자원 1) 농업의 다원적 기능 2) 회복력 (Resillence) 2. 농경문화 활용의 이론적 자원 1) 창조도시 2) 리빙랩(Living Lab) 3) 에코뮤지엄(Eco Museum) 제4장 농경문화도시 기본구상 1. 전통농경문화의 활용방향 2. 전통농경문화도시 기본구상 제5장 농경문화도시 구성요소 1. 농경역사 컨텐츠 2. 농경생활 컨텐츠 3. 농경문화 컨텐츠 4. 혁신지원 작동허브 보론 정책화 방안 1. 정책의 필요성 2. 정책화 방안 참고자료-
dc.publisher전북연구원ko_KR
dc.relation.ispartofseriesJthink;16-SR-05-
dc.subject.other도시계획-
dc.title전통농경문화도시 조성을 위한 기초연구ko_KR
dc.typeArticleko_KR
dc.subject.keyword전통문화-
dc.subject.keyword농경문화-
dc.subject.keyword문화도시-
dc.subject.keyword농촌마을-
dc.subject.keyword도시계획-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기획과제
Files in This Item:
16SR05_16GI06_전통농경문화도시 조성을 위한 기초연구_황영모.pdfDownload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