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 네트워크 혁신타운 조성을 위한 추진방안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황영모 | - |
dc.contributor.other | 김수은 | - |
dc.contributor.other | 안동신 | - |
dc.contributor.other | 가순호 | - |
dc.date.accessioned | 2018-01-19T06:36:57Z | - |
dc.date.available | 2018-01-19T06:36:57Z | - |
dc.date.issued | 2017-12-31 | - |
dc.identifier.isbn | 978-89-6612-203-5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396 | - |
dc.description.abstract | ● 기본배경 ○ (사회적 요청, 사회혁신) 사회적경제 조직은 혁신 지향성이 강하여 사회문제 해결을 혁신활동의 출발점으로 하기 때문에 문제해결형 사업과 활동을 담당하여 지속가능한 사회의 주체로 주목 ○ (현장의 요청, 조직혁신) 사회적경제 조직은 개별 조직단위의 경쟁적 우위가 아니라 사회적경제 조직의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인적자원·물적자원의 공유를 통한 지역통합형 경제활동 전략으로 가능 ○ (정책의 요청, 기반구축) 사회적경제가 제도화되고, 활성화 정책이 국정과제로 추진되고 있어 지원체계·금융접근성·판로·인력·비즈니스 혁신 등이 종합된 사회적경제의 혁신거점이 요청 ● 대응방향 ○ (사회적경제 조직, 네트워킹 거점 구축) 사회적경제 조직이 지역의 물적자원, 인적자원, 기술자원, 경영역량, 소비시장, 사회적 기반 등을 상호 교류하고 연계하는 체계가 중요 ○ (사회적경제 사업활동, 혁신공간 마련) 사회적경제 조직의 장점?한계를 과학기술에 입각한 혁신기술 등 외부지식과 결합하여 활용할 혁신실험의 공간조성으로 전환점을 마련 ○ (사회적경제 혁신기반, 인프라 구축) 전문인력 양성의 교육기관 운영, 교육체계 마련, 비즈니스 혁신을 위한 금융지원, 컨설팅·창업지원, 연구조사 등 혁신활동을 위한 인프라 구축 ● 연구관리 코드 : 17DA05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 론 제2장 사회적경제 여건과 현황 제3장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혁신타운 기본구상 제4장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혁신타운 구성요소 제5장 요약 및 결론 참고자료 | - |
dc.publisher | 전북연구원 | ko_KR |
dc.relation.ispartofseries | Jthink;17-OR-02 | - |
dc.title |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혁신타운 조성을 위한 추진방안 연구 | ko_KR |
dc.type | Article | ko_KR |
dc.subject.keyword | 사회적경제 | ko_KR |
dc.subject.keyword | 협동조합 | ko_KR |
dc.subject.keyword | 사회적기업 | ko_KR |
dc.subject.keyword | 마을기업 | ko_KR |
dc.subject.keyword | 지역자활센터 | ko_KR |
dc.subject.keyword | 리빙랩 | ko_KR |
dc.subject.keyword | 팹랩 | ko_KR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