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일자리 창출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시백-
dc.date.accessioned2018-01-24T05:41:17Z-
dc.date.available2018-01-24T05:41:17Z-
dc.date.issued2015-12-11-
dc.identifier.isbn978-89-6612-134-2-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424-
dc.description.abstract●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민선 6기 지방정부가 들어서면서 전라북도의 주력산업은 자동차/농기계 등의 가공 제조업에서 탄소산업의 확장, 농업의 6차 산업화, 토탈관광 등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됨 ○ 기존 가공 제조업에서 요구되는 일자리는 단순 노무 혹은 사무직이었으나, 이제는 산업간 융합화가 진행되고 전라북도의 주력 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되면서 필요 일자리는 복합적인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이나 보다 전문적인 기능을 갖추고 있는 고급 인력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 ○ 일자리 창출 정책의 기조 역시 산업 구조 변화에 따라 바뀌어야 하기 때문에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고용 변동 특성을 분석하여 일자리 창출 방안을 모색해야 함 ○ 일자리 창출 정책의 핵심은 안정적이면서 동시에 고임금을 제공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더 많이 창출하는 한편, 전체적인 일자리의 수준을 높여가는 방향을 제시되어야 함 ○ 산업 구조가 변화되면 산업의 성장경로에 따라 일자리를 창출하는 능력도 달라지기 때문에 산업에서 발생하는 일자리를 양질의 일자리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고용의 수급 관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정책이 요구됨 ○ 뿐만 아니라 지역의 산업구조와 고용 간에 존재하는 연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산업구조를 고용친화적인 방향으로 개편할 수 있는 산업 육성 정책도 동반되어야 함 ○ 지금까지 전라북도는 많은 일자리 창출 정책을 통해 인력 양성 및 기업 지원 활동을 벌여 성과를 거둬 왔지만, 아직까지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 ○ 전라북도 연령별 순이동 현황을 볼 때, 대학 졸업자 연령대인 25~34세의 역외 유출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도내 중소기업은 인력난에 시달려 고용의 불균형이 아직까지 심각한 편임 ○ 전라북도에서 커플링 사업 등 다양한 취업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이들 사업들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들 사업들은 고용의 질적 문제가 아닌 양적 문제 해소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 사실임 ○ 전라북도의 취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제는 일자리의 양적 확대보다는 질적 수준 향상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해야 함 ○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일자리가 없어서 발생한다기 보다는 고용의 공급자와 수요자간 요구되는 일자리의 수준의 차이에서 발생하여 공급자가 다른 일자리를 찾기 위해 타지역으로 이전하면서 생기기 때문임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고용구조 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인력 공급과 수요 양 측면에서 고용변동 특성을 분석하여 일자리 창출 정책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함 ● 연구관리 코드 : 15JU11-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내용 2. 연구의 흐름 제2장 일자리 관련 정책 및 선행 연구 검토 제1절 일자리 관련 정책 동향 1. 중앙 정부 정책 동향 2. 지방 정부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 지역 경제와 노동 시장간의 관계 분석 2. 노동 시장 행태 분석 3. 일자리 미스매치 분석 제3장 지역 경제 및 산업구조 변화 분석 제1절 산업 구조 변화-
dc.publisher전북연구원ko_KR
dc.relation.ispartofseriesJthink;2015-PR-07-
dc.title지역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일자리 창출 방안ko_KR
dc.typeArticleko_KR
dc.subject.keyword산업구조ko_KR
dc.subject.keyword일자리ko_KR
dc.subject.keyword고용창출ko_KR
dc.subject.keyword지역경제ko_KR
dc.subject.keyword노동시장ko_KR
dc.subject.keyword고용정책ko_KR
dc.subject.keyword고용탄력성ko_KR
dc.subject.keyword일자리 미스매치ko_KR
dc.subject.keyword고용구조ko_KR
dc.subject.keyword고용절벽ko_KR
dc.subject.keyword경력단절ko_KR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과제
Files in This Item:
15PR07_15JU11_지역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일자리 창출 방안_김시백.pdfDownload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