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전통시장 유형별 활성화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은-
dc.contributor.other안동신-
dc.date.accessioned2018-01-24T06:00:19Z-
dc.date.available2018-01-24T06:00:19Z-
dc.date.issued2015-12-31-
dc.identifier.isbn978-89-6612-135-9-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426-
dc.description.abstract● 연구 배경 ○ 1996년 유통산업의 개방과 대형 유통기업의 지역상권 진출,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른 소비자 취향의 고급화와 구매행태의 변화 등 외부환경의 변화는 전통시장의 쇠락을 야기하였음 - 전통시장 매출액: 27.3조원(2005년) → 19.9조원(2013년) - 점포수: 239,200개 → 203,000개 - 종사자수: 39만 7천명 → 33만 4천명 ○ 이에 정부는 1997년 '유통산업발전법‘ 이후 전통시장 관련 법제정을 통해 지원책을 마련하고,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과 투자를 실시해왔음. 그 결과 전통시장의 환경개선에 일부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왔지만, 전통시장 활성화에 궁극적인 해법이 되지는 못하고 있음 - 전라북도의 경우에도 다양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 아케이드, 주차장 확보 등의 시설현대화사업과 상인교육, 컨설팅 등의 시장경영선진화 등의 사업들을 전개해 왔지만, 전라북도 전통시장의 매출액이 200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음 ○ 이러한 원인으로 정부주도의 각각의 전통시장의 상황과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이고 획일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해왔기 때문임 - 전통시장은 입지나 여건에 따라 태생이 다르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다른 특성을 지닌 공간이므로 전통시장의 개별적 특성을 인지하고 이를 반영한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음 ○ 따라서 전라북도 전통시장 활성화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도내 전통시장이 지닌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에 따라 유의성이 있는 집단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맞춤형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효과적임 ● 연구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도내 65개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개별 전통시장이 지닌 특성을 바탕으로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으며, 시설측면, 운영측면, 네트워크 측면에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연구관리 코드 : 15JU10-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제1장 연구의 필요성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제2장 전통시장 정책 및 관련 선행연구 제1절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제2절 전라북도 전통시장 현황 및 지원사업 제3절 전통시장 유형화 관련 선행연구 제3장 전라북도 전통시장 유형 분석 제1절 유형분류 목적 및 방법 제2절 전라북도 전통시장 유형분류 결과 제4장 전라북도 활성화 사례분석 제1절 해외 사례 제2절 국내-
dc.publisher전북연구원ko_KR
dc.relation.ispartofseriesJthink;2015-PR-08-
dc.title전라북도 전통시장 유형별 활성화 방안ko_KR
dc.typeArticleko_KR
dc.subject.keyword전통시장ko_KR
dc.subject.keyword재래시장ko_KR
dc.subject.keyword유통산업ko_KR
dc.subject.keyword지역상권ko_KR
dc.subject.keyword상설시장ko_KR
dc.subject.keyword온누리상품권ko_KR
dc.subject.keyword관광형시장ko_KR
dc.subject.keyword전통정기시장ko_KR
dc.subject.keyword생활밀착형시장ko_KR
dc.subject.keyword중심상권시장ko_KR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과제
Files in This Item:
15PR08_15JU10_전라북도 전통시장 유형별 활성화방안 연구_김수은.pdfDownload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