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 거점별 태권시티(Taekwon City) 구축 방안 연구 : 무주 태권시티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윤규-
dc.contributor.other오병록-
dc.contributor.other김수지-
dc.date.accessioned2018-02-22T08:15:15Z-
dc.date.available2018-02-22T08:15:15Z-
dc.date.issued2017-07-31-
dc.identifier.isbn978-89-6612-198-4-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456-
dc.description.abstract● 연구의 배경 ○ 문재인 정부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서 태권도를 주요 과제로 선정하고 태권도 10대 문화 콘텐츠를 개발하여 전 세계에 보급하겠다고 밝혔음 ○ 대한민국의 국기인 태권도는 1940년대 5대 기관도장이 개관된 이후 1961년 대한태수도협회, 1965년 대한태권도협회, 2000년 시드니올림픽 정식종목 채택 등 겨루기를 통해 단기간에 세계적인 스포츠로 발돋움하였음 ○ 이러한 환경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정부는 태권도를 국가 브랜드로 활용하기 위해 노력 중임 ○ 그 일환으로 정부는 2014년 4월 태권도원을 개원하는 등 태권도를 新한류문화를 대표하는 브랜드로 성장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태권도원 방문객은 태권도를 향유하기 위해 찾은 ‘목적 방문객’으로 관련 콘텐츠를 소비하는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음 ○ 그러나 태권도 관련 콘텐츠는 태권도원과 국기원에 국한되어 국·내외 태권도 관계자들이 다양한 콘텐츠를 소비하는데 어려운 현실임 ○ 따라서 알려지지 않은 전국의 태권도 관련 콘텐츠를 발굴하고, 그 지역의 태권도 자산을 활용한 사업을 진행하여 태권도 상징공간인 태권시티(Taekwon City)를 전국에 조성해야 함, 더불어 태권도 상징공간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태권도의 공간적 범위를 전국으로 확장해야 함 ● 연구의 목적 ○ 태권도 종주국인 대한민국에서 태권도 관련 문화자산은 국기원과 태권도원 등 한정적 공간에 국한되어 있음. 이를 극복하기 위해 태권도를 국가 대표 브랜드로 육성하기 위해 전국 17개 시·도에 숨겨져 있는 태권도 자산을 발굴·육성하여 태권시티로 조성함으로써 태권도 문화 영토를 확장해야 함 ○ 본 연구는 전국 각지에 숨겨져 있는 태권도 자산을 발굴하고, 이들 자산을 바탕으로 특화된 태권시티를 조성함으로써 태권도 영토를 전국으로 확장하는 밑그림을 그리고자 함 ○ 구체적으로 서울은 청도관과 연무관, 송무관, 무덕관 창무관 등 5개 기관도장이 자리를 잡아 태권도가 태동한 역사적 의미를 지님. 더불어 국기원이 위치해 있어 태권도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음 ○ 전북은 태권도 세계화의 기반인 된 겨루기의 종주도이며, 전북 내 위치하고 있는 무주에 태권도원이 자리 잡아 태권도 성지로서 발돋움되고 있음 - 전북은 태권도가 단기간에 세계적 스포츠로 성장한 원동력인 겨루기가 태동한 곳으로 초기 겨루기 태권도를 도무형문화재로 지정하는 등 태권도의 문화적 가치를 인정하고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태권도와 맥을 같이하는 대한민국 전통무술 택견을 보유하고 있는 청주는 택견을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문화 유산으로 등재하고 전 세계 무술을 집적시키고 있음 ○ 삼국시대 신라의 수도인 경주는 화랑 제도에서 무술 연마를 통해 청소년들의 심신을 수련했던 전통성을 지니고 있음. 고구려에서 이어지는 우리 전통무술의 맥을 잇고 있는 지역임 ○ 태권도 시범의 효시는 제주도에서 창설된 육군 29사단에서 비롯되었음. 군 시범은 특유의 박력 넘치고 화려한 몸짓으로 태권도를 세계에 알리는 첨병으로 작용했음 ○ 이들 지역뿐만 아니라 전국의 다양한 지역에 태권도 관련 문화자산이 산재되어 있음 ○ 하지만 본 연구는 시간적 금전적 한계 등으로 위 5개 지역의 태권도 자산을 활용한 태권시티 조성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 특히 태권도 성지로 거듭나고 있는 무주 지역 태권시티 조성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함 ● 연구관리코드 : 17JU11-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제3절 연구의 방법 제2장 제반환경 분석 제1절 대내외적 환경 제2절 태권시티(Taekwon City) 유사사례 제3절 특화지역 연계사례 제3장 광역 거점별 태권시티(Taekwon City) 기본구상 제1절 태권도 거점 제2절 태권시티(Taekwon City) 조성방안 제3절 태권시티별 주요사업 제4장 무주 태권도 미래 City 기본구상 제1절 무주 태권도 미래 City 타당성 제2절 지역현황 제3절 추진과제 제5장 결론 제1절 연구결과 요약 제2절 제언-
dc.publisher전북연구원ko_KR
dc.relation.ispartofseriesJthink;2017-PR-11-
dc.title광역 거점별 태권시티(Taekwon City) 구축 방안 연구 : 무주 태권시티를 중심으로ko_KR
dc.typeArticleko_KR
dc.subject.keyword태권시티ko_KR
dc.subject.keyword지역개발ko_KR
dc.subject.keyword태권도ko_KR
dc.subject.keyword태권도원ko_KR
dc.subject.keyword상징공간ko_KR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과제
Files in This Item:
17PR11_17JU11_광역 거점별 태권시티 구축 방안 연구_최윤규.pdfDownload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