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인구유입활성화(제2고향만들기) 정책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동영 | - |
dc.contributor.other | 이중섭 | - |
dc.contributor.other | 송용호 | - |
dc.date.accessioned | 2020-02-19T06:17:45Z | - |
dc.date.available | 2020-02-19T06:17:45Z | - |
dc.date.issued | 2019-09-30 | - |
dc.identifier.isbn | 978-89-6612-270-7 | - |
dc.identifier.other | 19JU11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566 | - |
dc.description.abstract | ● 연구 목적 ○ 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너무 종합적이기 때문에 그 동안 지자체의 인구정책 또한 종합적인 형태의 계획성격을 가지고 있어 분야별 계획과 인구계획으로서 부분계획의 차별성을 가지기 어려운 한계가 있음 ○ 이번에 추진되는 정책연구는 분야별 종합계획 성격의 인구정책이 아니라 철저하게 인구유입이 가능한 타겟을 설정하고 이들을 유입하기 위한 정책발굴에 집중하는 타겟형 인구유입전략으로서 의미가 있음 ○ 전북출향인 및 출향2세, 도내 대학생 및 전북출신 수도권 대학생, 공공기관 종사 자 및 은퇴자 대상으로 전북을 제2 고향으로 만들기 위한 정착과 이주사업 발굴 ● 연구 기대효과 ○ 분야별 추진 중이거나 사업분야를 중심으로 고려된 사업을 위주로 인구정책이 추진되는 한계를 극복하고 인구의 관점에서 분야를 고려한 정책발굴에 초점을 둔 인구를 상수에 둔 정책발굴이라는 의미가 있음 ○ 전북출향인 및 출향2세, 전북출신 수도권 대학생, 이정공공기관 종사자 및 은퇴자들의 전북 제2고향만들기를 통해 실제적인 인구유입에 기여 ○ 지방이주의 단계를 설정하고 단계별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여 현재 추진 중인 사업의 보완 또는 신규사업 발굴을 통해 지방이주정책의 완결성 추진 | ko_K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연구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4. 연구 기대효과 Ⅱ. 선행연구검토 1. 연구논문분석 2. 정책연구분석 3. 인구유입정책사례 Ⅲ. 전라북도 인구현황 1. 인구추계 2. 전라북도 인구현황 및 추이 Ⅳ. 정책수요 분석 1. 조사개요 2. 조사결과 Ⅴ. 정책방향 및 대상선정 1. 인구유입 정책의 전제조건 2. 인구유입 대상선정 3. 인구유입 대상현황 Ⅵ. 인구유입 추진전략 1. 제비(JB) 고향회귀센터 2. 체류도시 시범사업 3. 베이비붐 교육연수원 4. 공유농업(공유농장) 5. 청년참여형 리빙랩 6. 하늘·바람·물 전북 청정지역 지정 7. ICT 청년업무지구 조성 Ⅶ. 요약 및 결론 부록 | - |
dc.publisher | 전북연구원 | ko_KR |
dc.relation.ispartofseries | Jthink;2019-PR-20 | - |
dc.title | 전라북도 인구유입활성화(제2고향만들기) 정책연구 | ko_KR |
dc.type | Book | ko_KR |
dc.subject.keyword | 인구유입 | ko_KR |
dc.subject.keyword | 인구감소 | ko_KR |
dc.subject.keyword | 인구유출 | ko_KR |
dc.subject.keyword | 지방이주 | ko_KR |
dc.subject.keyword | 인구정책 | ko_KR |
dc.subject.keyword | 이주사업 | ko_KR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