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코인 도입 및 활성화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은-
dc.contributor.other안동신-
dc.date.accessioned2020-04-10T03:36:00Z-
dc.date.available2020-04-10T03:36:00Z-
dc.date.issued2019-12-31-
dc.identifier.isbn978-89-6612-278-3-
dc.identifier.other19JU03-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574-
dc.description.abstract●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 이후 사회적 대안운동의 일환으로 대두되었던 지역화폐에 대한 관심이 최근 지역공동체 논의 활성화, 지역순환경제 구축 등의 필요성에 따라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 지역화폐는 경제문제를 넘어 지역성과 연관된 핵심가치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글로컬시대 및 지방화시대의 주요 의제로 성장함 ○ 지역화폐에 대한 관심은 정책영역 뿐만 아니라 전국민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구글 및 네이버 등의 포털 상에서 지역화폐 검색량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음 ○ 지역화폐는 그동안 풀뿌리 지역시민단체 또는 대안경제를 모색하는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제시되어 왔으나, 성남시 청년배당을 지역화폐를 통해 추진함으로써 청년정책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정책효과를 거두면서 정부 및 지자체의 정책적 관심사로 대두되었음 ○ 지역화폐가 주목을 받는 두 번째 이유는 지역의 역외유출을 방지하고 지역 내 순환경제를 도모하기 위함임 ○ 역외유출을 방지하고 지역 순환경제를 고려하는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상품권 형태의 지역화폐를 발행(지역사랑상품권)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정책적으로 권장해왔던 지역사랑상품권과는 별개로 지역의 사회적 가치실현과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한 지역화폐의 도입방향과 적용방안을 논의하고자 함ko_K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주요내용 제2장 지역화폐의 이론적 검토 1. 지역화폐의 정의와 유형 2. 우리나라 지역화폐 운동의 전개 3. 지역화폐의 기대효과 및 한계점 제3장 국내외 지역화폐 사례 1. 국외사례 2. 국내사례 3. 사례요약 및 시사점 제4장 전북코인 도입방안 1. 전북코인의 정의 2. 도입방향 기본구상 3. 세부 추진전략 4. 전북코인 도입모형 제5장 결론 1. 연구의 요약 2. 전북코인 활성화 과제 참고문헌-
dc.publisher전북연구원ko_KR
dc.relation.ispartofseriesJthink;2019-PR-27-
dc.title전북코인 도입 및 활성화 방안ko_KR
dc.typeBookko_KR
dc.subject.keyword지역화폐ko_KR
dc.subject.keyword지역경제ko_KR
dc.subject.keyword대안경제ko_KR
dc.subject.keyword지역상품권ko_KR
dc.subject.keyword사회적경제ko_KR
dc.subject.keyword전북코인-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과제
Files in This Item:
19PR27_19JU13_전북코인 도입 및 활성화 방안_김수은.pdfDownload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