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수출 활성화 지원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나정호-
dc.contributor.other이병훈-
dc.contributor.other정호중-
dc.date.accessioned2020-08-19T02:13:15Z-
dc.date.available2020-08-19T02:13:15Z-
dc.date.issued2020-07-31-
dc.identifier.isbn978-89-6612-293-6-
dc.identifier.other20JU03-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588-
dc.description.abstract●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 글로벌 통상환경 위협요인에 따라 수출여건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으며, 코로나19 감염증 확산으로 무역이 감소하고 있음 ○ 무역거래 디지털화의 진전으로 해외영업 활동상 기업 규모의 제약이 사라지고, 무역 범위가 확대 ○ 정부의 무역 활성화 정책 부합성을 유지하면서, 지역 무역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가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 필요 ○ 지자체 차원에서 지역 수출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구상 연구를 많이 수행하고 있음 ○ 전라북도는 2018년 「전라북도 중소기업 수출 중장기 종합계획(2018~2022)」 연구를 수행하여 지역 기업의 수요조사 및 향후 추진과제를 도출 ○ 코로나19 감염증 확산이 전 세계적으로 교역 감소를 유발하는 상황은 무역으로 국가 경제를 이끄는 우리나라의 어려움으로 작용 ● 연구목적 ○ 전라북도 수출 활성화와 미래 지속 가능한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북도 차원의 지원방안을 제안하는데 연구목적이 있음 ○ "지자체"가 "지역 수출 증대"를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수출 증대를 위해 지자체에서 추진할 수 있는 과업과 추진 체계 검토 ○ 본 연구 결과 전라북도 수출 증대를 토대로 지역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 효과를 기대ko_K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선행연구 3. 선행연구 시사점 제2장 전라북도 수출입 현황과 과제 1. 세계 무역 환경 변화 2. 전라북도 수출입 현황 3. 전라북도 수출입 지원정책 4. 전라북도 수출 활성화 과제 제3장 지역 수출 지원 사례 1. 지역 수출 지원 사례 2. 지역 수출 지원 조직 현황 3. 지역 수출 지원 사례 시사점 제4장 전라북도 수출 지원정책 만족도 조사 1. 전라북도 수출 지원정책 만족도 조사 개요 2. 전라북도 수출 지원정책 만족도 조사 결과 3. 전라북도 수출 지원정책 만족도 조사 시사점 제5장 전라북도 수출 지원방안 1. 전라북도 수출 지원 여건분석 2. 전라북도 수출 중장기 지원방향 설정 3. 전라북도 수출 지원방안 제6장 결론 1. 내용요약 2. 정책제언-
dc.publisher전북연구원ko_KR
dc.relation.ispartofseriesJthink;2020-PR-10-
dc.title전라북도 수출 활성화 지원방안 연구ko_KR
dc.typeBookko_KR
dc.subject.keyword수출ko_KR
dc.subject.keyword수출지원ko_KR
dc.subject.keyword수출입ko_KR
dc.subject.keyword물동량ko_KR
dc.subject.keyword무역ko_KR
dc.subject.keyword수입규제ko_KR
dc.subject.keyword수출규제ko_KR
dc.subject.keyword수출기업ko_KR
dc.subject.keyword해외시장ko_KR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과제
Files in This Item:
20PR10_20JU03_전라북도 수출 활성화 지원방안 연구_나정호.pdfDownload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