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내 균형발전을 위한 5권 5축 특화전략 구상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성재 | - |
dc.contributor.other | 한국환 | - |
dc.date.accessioned | 2020-11-03T07:41:54Z | - |
dc.date.available | 2020-11-03T07:41:54Z | - |
dc.date.issued | 2020-03-31 | - |
dc.identifier.isbn | 978-89-6612-296-7 | - |
dc.identifier.other | 19JU20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592 | - |
dc.description.abstract | ● 연구 배경 ○ 지역간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지역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지역간 발전격차 및 불균형 심화 등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 ○ 현 정부는 '17년 7월 발표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서 균형발전을 국정목표 및 주요 전략으로 설정하고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 등 관련 제도 개선 ○ '18년 2월에는 국가균형발전 비전 선포식을 통해 '지역이 강한나라, 균형잡힌 대한민국'을 비전으로 하는 새로운 균형발전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제4차 국가균형발전계획 수립 ○ 전라북도 시군이 보유한 특화자원과 기존에 추진되고 있는 정부 또는 지역 사업 등을 기반으로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권역별 특성을 부각시킨 특화전략 구상이 필요한 시점 ● 연구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균형발전 정책과 전라북도 발전방향을 고려하여 제4차 전라북도 균형발전계획에서 제시된 5권 5축에 대한 자원분석과 발전 잠재력을 극대화시켜 특화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권역별 특화전략을 도출하고자 함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연구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균형발전 정책 1. 균형발전의 개념 및 전개 2. 정부 균형발전 정책 및 계획 3. 전북 균형발전 정책 및 사업 Ⅲ. 전라북도 여건 분석 1. 균형발전 실태 분석 2. 권역별 특성 분석 3. 과제 도출 Ⅳ. 지역 특화발전 전략 1. 균형발전 방향과 5권 5축 2. 5권 5축 발전 전략 3. 5권 특화발전 과제 4. 5축 연계전략 과제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부록 1. 시군별 · 지표별 지역낙후도지수(KDI) 2. 시군별 · 지표별 균형발전지표(균형위) 3. 권역별 주요 사업 참고문헌 | - |
dc.publisher | 전북연구원 | ko_KR |
dc.relation.ispartofseries | Jthink;2020-PR-12 | - |
dc.title | 전라북도 내 균형발전을 위한 5권 5축 특화전략 구상 | ko_KR |
dc.type | Book | ko_KR |
dc.subject.keyword | 균형발전 | ko_KR |
dc.subject.keyword | 지역발전 | ko_KR |
dc.subject.keyword | 발전격차 | ko_KR |
dc.subject.keyword | 불균형 | ko_KR |
dc.subject.keyword | 특화자원 | ko_KR |
dc.subject.keyword | 특화발전 | ko_KR |
dc.subject.keyword | 낙후지역 | ko_KR |
dc.subject.keyword | 공간경제 | ko_KR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