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양원탁 | - |
dc.contributor.other | 전희진 | - |
dc.contributor.other | 정미선 | - |
dc.date.accessioned | 2021-01-26T08:21:15Z | - |
dc.date.available | 2021-01-26T08:21:15Z | - |
dc.date.issued | 2020-12-31 | - |
dc.identifier.isbn | 978-89-6612-303-2 | - |
dc.identifier.other | 20JU22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599 | - |
dc.description.abstract | ● 연구의 배경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수도권 집중 심화와 코로나19 충격 등으로 농어촌 지역의 제조업 여건은 지속해서 약화 ○ 농어촌 지역의 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농공단지의 비효율성을 해소하고 활성화하는 방안 마련이 요구 ○ 전북은 1986년 남원시 인월 농공단지가 최초로 준공된 이후 총 59개 농공단지가 조성되었으며, 지역경제 및 일자리 측면에서 중요성을 지님 ○ 전북의 농공단지는 영세한 규모와 노후화, 저부가가치 업종 중심의 산업구조, 열악한 입지 여건 등으로 활성화 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음 ●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전북 농공단지의 여건을 물리, 산업, 제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농공단지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ko_K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연구의 주요 내용 제2장 농공단지의 개념과 동향 1. 개요 2. 농공단지의 개념과 유형 3. 농공단지 관련 정책 동향 4. 농공단지 관련 선행연구 5. 소결 제3장 전라북도 농공단지 현황 1. 개요 2. 전라북도 농공단지 일반현황 3. 지역별 농공단지 현황 4. 노후도별 농공단지 현황 5. 소결 제4장 전라북도 농공단지 특성 분석 1. 개요 2. 물리적 특성 분석 3. 산업적 특성 분석 4. 소결 제5장 정책 수요조사 1. 조사 개요 2. 응답자 현황 3. 정책 수요조사 결과 4. 소결 제6장 전라북도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 1. 개요 2. 전북 농공단지 여건 종합 3. 전북 농공단지 활성화 기본구상 4. 분야별 추진계획 참고문헌 부록 | - |
dc.publisher | 전북연구원 | ko_KR |
dc.relation.ispartofseries | Jthink;2020-PR-17 | - |
dc.title | 전라북도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 연구 | ko_KR |
dc.type | Book | ko_KR |
dc.subject.keyword | 농공단지 | ko_KR |
dc.subject.keyword | 산업단지 | ko_KR |
dc.subject.keyword | 산업구조 | ko_KR |
dc.subject.keyword | 농어촌 | ko_KR |
dc.subject.keyword | 지역산업 | ko_KR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