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농촌마을 기초통계 작성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승현-
dc.contributor.other이중섭-
dc.contributor.other황영모-
dc.contributor.other김수용-
dc.date.accessioned2021-09-13T08:05:00Z-
dc.date.available2021-09-13T08:05:00Z-
dc.date.issued2021-03-31-
dc.identifier.isbn978-89-6612-318-6-
dc.identifier.other19GI03-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692-
dc.description.abstract● 연구배경 ○ 농촌지역의 인구 유출과 저출산 현상으로 전라북도의 농촌마을은 타 지역에 비해 인구과소화가 가장 심각하게 진행 ○ 전라북도는 지방소멸과 농촌 인구과소화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지난 2018년에 농촌지역의 행정리와 자연마을을 대상으로 마을경계지도를 제작하고, 마을별 인구와 가구 등의 현황자료를 공간DB(전라북도 마을단위 기초공간DB)로 구축 ○ 구축된 자료는 시공간적 측면에서 마을과소화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항목과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가공통계항목을 생성할 수 있음 ○ 마을단위 기본통계와 가공통계는 농촌문제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신규 마을정책을 발굴하는데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음 ● 연구목적 ○ 전라북도 농촌마을 공간DB를 바탕으로 자연마을단위 기초통계 작성 체계를 구상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연마을의 일반통계 및 성인지 통계를 작성·제시 ○ 농촌마을단위 원시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라북도 시군단위와 시군별 읍면단위의 마을평균을 산정하고 시계열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가공통계 자료를 생성하여 농촌마을의 쇠퇴와 변화를 진단하는데 활용ko_K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제2장 전라북도 농촌마을 기초통계 작성 개요 및 현황 1. 농촌마을 통계 작성 의의 2. 우리나라 소지역 통계 관련 연구 고찰 3. 전라북도 농촌마을 기초공간DB 구축 현황 4. 전라북도 농촌마을 기본현황 제3장 자연마을 기본통계 작성 1. 전라북도 자연마을 기본통계 작성 의의 및 체계 구상 2. 자연마을 일반통계 3. 자연마을 성인지 통계 제4장 자연마을 가공통계 작성 1. 자연마을 가공통계 작성 의의 및 체계 구상 2. 자연마을 비율 특성 가공통계 3. 전라북도 시군단위 가공통계 4. 시군별 읍면단위 가공통계 제5장 농촌마을 기초통계 활용 및 유지관리 방안 1. 농촌마을 기초통계 활용 2. 기초통계 고도화 및 유지관리 방안 제6장 결론 1. 결 론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참고문헌-
dc.publisher전북연구원ko_KR
dc.relation.ispartofseries기본연구;2021-BR-02-
dc.title전라북도 농촌마을 기초통계 작성 연구ko_KR
dc.typeBookko_KR
dc.subject.keyword기초통계-
dc.subject.keyword가공통계-
dc.subject.keyword농촌문제-
dc.subject.keyword과소화마을-
dc.subject.keyword공간DB-
dc.subject.keyword인구과소화-
dc.subject.keyword농촌마을-
dc.subject.keyword자연마을-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기본과제
Files in This Item:
21BR02_19GI03_전라북도 농촌마을 기초통계 작성 연구_임승현.pdfDownload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