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형 청년업무지구 조성사업 추진방안 검토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시백 | - |
dc.contributor.other | 김수은 | - |
dc.contributor.other | 김동영 | - |
dc.contributor.other | 박세현 | - |
dc.date.accessioned | 2021-09-15T06:31:21Z | - |
dc.date.available | 2021-09-15T06:31:21Z | - |
dc.date.issued | 2021-07-30 | - |
dc.identifier.isbn | 978-89-6612-328-5 | - |
dc.identifier.other | 20JU35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695 | - |
dc.description.abstract | ● 연구 배경 ○ 전라북도는 지속적으로 청년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지역으로 인구학적으로 자연 감소의 영향도 있지만, 수도권 등으로의 타지역 유출이 지속되면서 경제 활력을 상실하고 있음 ○ 청년 인구 감소는 결국 전라북도 전체 인구 감소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으며, 청년 인구 유출을 줄이고 청년 친화적인 공간으로 탈바꿈해야 하는 것이 지역 과제의 핵심 ○ 청년 인구 유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 차원에서의 최선의 방법은 양질의 일자리를 확보하고 매칭해주는 환경을 조성해줘야 함 ○ 최근 일자리 정책은 기존의 일자리 확충 뿐만 아니라 청년 친화형 업무 공간을 조성하여 제공하는 사업들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음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청년층의 일자리 창출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일자리를 공급하고 청년 창업을 촉진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전라북도에서 추진할 수 있는 청년 친화형 업무지구 조성 방안에 대한 다양한 사업 방식 및 대안들을 검토하고 국가 지원 사업 혹은 도-시군 매칭사업으로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전라북도는 도시와 농촌이 혼합되어 형성되어 있어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단일 유형으로 청년 친화형 업무지구를 조성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시군별로 맞춤형 사업 유형을 제안하고자 함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기대효과 3. 연구의 추진 체계 제2장 전북형 청년친화 업무지구 조성의 필요성 1. 청년 업무공간의 패러다임 전환 2. 청년들의 산업별 고용 행태 변화에 맞춘 업무 공간 3. 스토리를 가지고 복합 용도를 향유할 수 있는 공간 제3장 국내외 청년친화 업무지구 조성 사례 1. 청년친화공간의 유형 2. 중앙정부 추진 사업 사례 3. 지방정부 추진 사업 사례 4. 시사점 제4장 전북형 청년친화 업무지구 조성 여건 검토 1. 산업 기반 측면 2. 집적화 가능성 측면 제5장 전북형 청년친화 업무지구 조성 방안 1. 기본 방향 2. 중앙정부 공모사업 연계 추진 방안 3. 시군 매칭 사업 참고문헌 | - |
dc.publisher | 전북연구원 | ko_KR |
dc.relation.ispartofseries | 정책연구;2021-PR-06 | - |
dc.title | 전북형 청년업무지구 조성사업 추진방안 검토 | ko_KR |
dc.type | Book | ko_KR |
dc.subject.keyword | 청년인구 | - |
dc.subject.keyword | 청년일자리 | - |
dc.subject.keyword | 인구유출 | - |
dc.subject.keyword | 청년창업 | - |
dc.subject.keyword | 업무지구 | - |
dc.subject.keyword | 업무공간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