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귀농귀촌 생활기술 교육플랫폼 운영 방안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조원지 | - |
dc.contributor.other | 배균기 | - |
dc.contributor.other | 이병훈 | - |
dc.date.accessioned | 2021-09-17T02:34:15Z | - |
dc.date.available | 2021-09-17T02:34:15Z | - |
dc.date.issued | 2021-09-30 | - |
dc.identifier.isbn | 978-89-6612-331-5 | - |
dc.identifier.other | 21JU06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698 | - |
dc.description.abstract | ● 연구배경 및 목적 ○ 귀농귀촌은 은퇴 후 제 2의 삶에 대한 도시민 기대의 산물로 인식되었으나, 최근 다양한 연령과 계층들이 자신의 버킷리스트를 실현하고자 농촌으로 이주하면서 귀농 · 귀촌의 동기와 유형은 다양해지고 있음 ○ 농촌은 생산을 위한 공간이 아닌 개인의 일터, 삶터, 쉼터로서 일상생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귀농귀촌인을 농촌사회의 인적자원이 아닌 농업분야의 인적자원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은 귀농귀촌 교육이 귀농귀촌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는데 한계가 있음 ○ 귀농귀촌 유형의 다양화되고 있는 현재, 일률적인 농업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도시민들이 농촌사회에서 원활한 적응 · 정착과 자신의 역량을 발휘 가능한 귀농귀촌교육 변화와 전북과 지역사회 특성에 적합한 교육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을 강조 ○ 귀농귀촌인의 농촌생활역량 제고를 위한 귀농귀촌의 교육방향, 교육영역, 체계 등에 대한 변화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며, 이들 결과를 통해 농업 중심에서 벗어나 농촌사회에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생활역량을 위한 교육개발과 교육체계 운영에 대한 방안을 제시 | ko_K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생활역량 개념 및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내용 및 방법 4. 연구 추진체계 제2장 귀농귀촌 및 교육 현황 1. 귀농귀촌 현황 2. 귀농귀촌 및 농업인 교육체계 3. 전북 귀농귀촌교육의 과제 제3장 사례조사 1. Life Skills for Europe(LSE) 2. 충남 삶기술학교 3. 홍성 평민마을학교 4. 농촌생활기술학교 5. 경기도 교육플랫폼 '찾아가는 배움교실' 6. 시사점 제4장 환경분석 및 전문가조사 1. SWOT분석 2. 전문가조사 3. 시사점 제5장 전북 귀농귀촌 생활기술 교육플랫폼 운영방안 1. 전북 귀농귀촌 생활기술 교육플랫폼 개념 및 목적 2. 전북 귀농귀촌 생활기술 교육플랫폼 운영 참고문헌 | - |
dc.publisher | 전북연구원 | ko_KR |
dc.relation.ispartofseries | 정책연구;2021-PR-07 | - |
dc.title | 전북 귀농귀촌 생활기술 교육플랫폼 운영 방안 | ko_KR |
dc.type | Book | ko_KR |
dc.subject.keyword | 귀농귀촌 | - |
dc.subject.keyword | 농촌생활 | - |
dc.subject.keyword | 농촌사회 | - |
dc.subject.keyword | 생활역량 | - |
dc.subject.keyword | 농업교육 | - |
dc.subject.keyword | 교육기관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