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비대면 문화예술 활성화 방안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동영 | - |
dc.contributor.other | 권이선 | - |
dc.date.accessioned | 2021-12-22T04:23:18Z | - |
dc.date.available | 2021-12-22T04:23:18Z | - |
dc.date.issued | 2021-12-31 | - |
dc.identifier.isbn | 978-89-6612-344-5 | - |
dc.identifier.other | 21JU23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724 | - |
dc.description.abstract | ● 연구배경 ○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우려와 확진자 급증 같은 사회 불안 요소 차단을 위해 강도 높은 방역 조치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됨 ○ 기존 대면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문화예술 산업 및 교육 분야는 공연 취소 및 행정조치에 따라 감염병에 취약성을 드러냄 ○ 코로나19로 언택트(Untact) 문화가 대두되기에 앞서 이전부터 차세대 산업혁명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뤄지는 4차 산업혁명이 각광받음 ○ 미래 불확실성, 변동성이 심화되는 상황 속에서 코로나19 이전부터 논의되어 온 기술적 흐름을 고려하여 언제 다시 발생할지 모를 팬데믹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대책 마련 시급 ● 연구 기대효과 ○ 코로나19 이후 대면중심의 문화예술 서비스의 한계극복을 위해 포스트 코로나 문화환경 변화에 따른 비대면 문화예술 활성화정책 제시 ○ 변화하는 문화환경에 대비한 비대면 문화예술정책 발굴로 전라북도 문화예술인의 대응전략과 전라북도 포스트코로나 문화정책 방향 제시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연구 개요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3. 연구 기대효과 Ⅱ 코로나19이후 문화예술 활동변화 1. 코로나19이전 비대면 기술과 서비스의 발전 방향 2. 코로나19가 문화예술에 미친 영향 3. 코로나19이후 전라북도 문화예술 활동 변화 Ⅲ. 비대면 문화예술 정책분석 1. 국내외 정책대응 현황 2. 전라북도 비대면 문화예술 정책개발을 위한 FGI 3. 정책 시사점 Ⅳ. 전라북도 비대면 문화예술정책 방향 1. 정부 관계부처 합동, 비대면 예술 지원 방안 2. 전라북도 비대면 문화예술정책 방향 3. 비대면 문화예술정책 주요과제 Ⅴ. 결론 | - |
dc.publisher | 전북연구원 | ko_KR |
dc.relation.ispartofseries | 정책연구;2021-PR-19 | - |
dc.title | 전라북도 비대면 문화예술 활성화 방안 | ko_KR |
dc.type | Book | ko_KR |
dc.subject.keyword | 문화행정 | - |
dc.subject.keyword | 문화산업 | - |
dc.subject.keyword | 문화예술 | - |
dc.subject.keyword | 문화정책 | - |
dc.subject.keyword | 예술정책 | - |
dc.subject.keyword | 플랫폼 | - |
dc.subject.keyword | 코로나19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