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비대면 문화예술 활성화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동영-
dc.contributor.other권이선-
dc.date.accessioned2022-02-23T05:41:29Z-
dc.date.available2022-02-23T05:41:29Z-
dc.date.issued2022-03-24-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740-
dc.description이 자료는 정책과제로 수행한 "전라북도 비대면 문화예술 활성화 방안 (21JU23)" 일부를 재구성하여 작성하였음-
dc.description.abstract미래 불확실성, 변동성이 심화되는 상황 속에서 코로나19 이전부터 논의되어 온 기술적 흐름을 고려하여 언제 다시 발생할지 모를 팬데믹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비대면 문화예술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현장 수요에 기반한 온라인·비대면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기 위해서는 발달된 기술과 지역의 문화예술 여건을 분석하여 전라북도만의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대면 위주의 생활기반 및 공동체가 살아있는 지방과 농촌지역이 다수인 전라북도의 경우 비대면 관련 기술과 콘텐츠 취약으로 인해 문화예술향유 프로그램이 단절되는 비대칭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위한 마이크로 컨택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전라북도 비대면 문화예술 정책은 대면 접촉을 통해 감성을 공유하는 예술문화의 고유적 특징과 전라북도 지역성을 반영한 전라북도만의 차별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연구배경과 목적 2. 코로나19이후 전라북도 문화예술활동의 피해와 변화상 3. 코로나19 시대 전라북도 문화예술계의 대응 현황 4. 전라북도 비대면 문화예술 수요조사를 위한 FGI 결과 5. 전라북도 비대면 문화예술 정책방향 6. 전라북도 비대면 문화예술 주요과제-
dc.publisher전북연구원ko_KR
dc.relation.ispartofseries정책브리프;54-
dc.title전라북도 비대면 문화예술 활성화 방안ko_KR
dc.typeArticleko_KR
dc.subject.keyword문화행정-
dc.subject.keyword문화산업-
dc.subject.keyword문화예술-
dc.subject.keyword문화정책-
dc.subject.keyword예술정책-
dc.subject.keyword플랫폼-
dc.subject.keyword코로나19-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정책브리프
Files in This Item:
정책브리프_54_전라북도 비대면 문화예술 활성화 방안.pdfDownload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