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활성화 거점시설의 지속가능한 통합관리 및 운영방안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오병록 | - |
dc.contributor.other | 배진아 | - |
dc.date.accessioned | 2022-04-20T19:30:00Z | - |
dc.date.available | 2022-04-20T19:30:00Z | - |
dc.date.issued | 2022-01-31 | - |
dc.identifier.isbn | 978-89-6612-380-3 | - |
dc.identifier.other | 21JU24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761 | - |
dc.description.abstract | ● 연구의 배경 ○ 쇠퇴한 지역의 활력제고와 주민공동체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역활성화사업들이 추진되고 있음 ○ 지역활성화사업을 통하여 주민들의 공동체활동과 문화 · 여가 및 복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인 거점시설이 설치되고 있음 ○ 서로 다른 다수의 지역활성화사업들이 근접하여 추진되면서 중복적으로 조성되는 거점시설들은 기능을 통합하고 차별화할 필요가 있음 ○ 지역활성화사업으로 조성되는 거점시설의 관리와 운영에의 지속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음 ● 연구의 목적 ○ 이 연구는 지역활성화사업이 지역활성화와 주민공동체 육성이라는 유사한 목적으로 추진하지만 사업소관 중앙부처가 달라 개별적으로 시행되면서 거점시설의 조성 및 운영이 비합리적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함 ○ 지역활성화사업으로 전북도내에 조성된 거점시설을 대상으로 시설의 위기 · 기능 중복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음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2장 이론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1. 지역활성화와 거점시설 2. 지역활성화 정책 동향 3. 선행연구 제3장 거점시설 조성 및 운영 현황 1. 전라북도 지역활성화사업과 거점시설 2. 거점시설의 기능 3. 거점시설 분포 4. 거점시설 운영 제4장 지역활성화 거점시설 관리·운영 방안 1. 거점시설 관리 · 운영의 실태와 과제 2. 거점시설 관리 · 운영 전략 3. 거점시설 관리 · 운영 정책방안 제5장 결론 1. 연구 종합 2. 정책 제언 참 고 문 헌 부 록 | - |
dc.publisher | 전북연구원 | - |
dc.relation.ispartofseries | 정책연구;2022-PR-05 | - |
dc.rights | BY_NC_ND | - |
dc.source | /home/dspace/pdf/ | - |
dc.title | 지역활성화 거점시설의 지속가능한 통합관리 및 운영방안 | - |
dc.type | Book | - |
dc.subject.keyword | 농촌마을 | - |
dc.subject.keyword | 기초생활서비스 | - |
dc.subject.keyword | 농어촌 | - |
dc.subject.keyword | 생활SOC | - |
dc.subject.keyword | 삶의질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