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농업노동력 수급실태와 대응방안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조원지 | - |
dc.contributor.other | 정호중 | - |
dc.date.accessioned | 2022-04-20T19:30:00Z | - |
dc.date.available | 2022-04-20T19:30:00Z | - |
dc.date.issued | 2022-03-31 | - |
dc.identifier.isbn | 978-89-6612-383-4 | - |
dc.identifier.other | 21JU30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763 | - |
dc.description.abstract | ● 연구 목적 ○ 이 연구는 전북 농촌의 농업 인력난이 코로나19로 인해 가중되면서, 인력난 해소를 위한 방안 모색하기 전 현재 고용 노동력 수급과 경로가 어떤지를 살펴볼 시기임 ○ 이는 전북 농업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인 ‘농업 노동력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현재 시도되고 있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시도가 실효적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함 ○ 이 연구는 전북 농업 노동력 부족문제 완화 방안 모색을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농업 노동력 수급 관련 정책, 국내외 노동력 공급 경로 사례, 현장조사 등을 통해 농업 노동력 수급 실태를 파악하고 인력난 해소를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함 ● 연구 체계 ○ 첫째, 현재 농업 노동력 수급을 위한 관련 정책 및 제도를 검토함. 둘째, 2019년 전북도의 계절성 작물에 대한 농업 고용노동력 투입량을 산출하여 고용 노동력 수요를 살펴보고자 함. 셋째, 공공부문에서 전북 농촌 인력난 해소를 위한 제도적 장치 및 한계를 파악하고자 함. 넷째, 국내외 농업 노동력 수급 사례를 통해 농업 노동력 부족 문제 대응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마지막으로, 전북 농업 노동력 수급을 위한 방안을 제안함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농업 고용 노동력 개념 및 선행연구 3. 연구내용과 구성 제2장 전북 농업 고용 노동력 및 정책 현황 1. 농업 노동시장 및 고용 노동력 구조 변화 2. 전북 주요 품목별 노동투입량 3. 농업 고용 노동력 관련 정책 및 제도 제3장 전북 농업 고용 노동력 실태 및 공급경로 1. 시·군별 농업 고용 노동력 공급 2. 농업 고용 노동력 공급 경로 3. 국내외 농업 고용 노동력 공급 사례 4. 시사점 제4장 농업 노동력 수급 대응 방안 1. 정책방향 2. 추진전략 3. 중점과제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 - |
dc.publisher | 전북연구원 | - |
dc.relation.ispartofseries | 정책연구;2022-PR-10 | - |
dc.rights | BY_NC_ND | - |
dc.source | /home/dspace/pdf/ | - |
dc.title | 전라북도 농업노동력 수급실태와 대응방안 | - |
dc.type | Book | - |
dc.subject.keyword | 노동시장 | - |
dc.subject.keyword | 노동력 | - |
dc.subject.keyword | 농업인력 | - |
dc.subject.keyword | 농업정책 | - |
dc.subject.keyword | 농가인구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