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서 묘포장 부지활용 기초구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영모-
dc.contributor.other배균기-
dc.contributor.other전희진-
dc.contributor.other이병훈-
dc.contributor.other정호중-
dc.date.accessioned2022-07-19T06:13:05Z-
dc.date.available2022-07-19T06:13:05Z-
dc.date.issued2020-09-30-
dc.identifier.isbn978-89-6612-392-6 (PDF)-
dc.identifier.other20JU07-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827-
dc.description.abstract● 연구배경과 목적 ○ 산업혁명 이후 이른바 '개발과 발전'이라는 테제(These)에 기반한 산업문명 중심의 경제적·사회적 변화는 물질의 풍요로움을 가져 왔음 ○ 현재와 같은 산업문명은 인류의 역사에서 그리 오래된 문명의 형태가 아니며, 과학과 기계기술의 발전 함께 폭발적으로 확산된 삶의 방식의 하나임 ○ 그러나 현실에서는 환경파괴와 기후변화 등과 같은 물리적인 부작용은 물론 양극화와 사회적 배제 등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음 ○ 우리 사회는 산업문명이 가능하게 한 유례없는 물질적인 풍요로움에도 불구하고, 환경위기와 사회문제의 심화 등을 결과적으로 가져온 산업문명의 안티테제(Anti-these)로서 '생태문명'을 중심으로 한 문명사적 대전환에 주목하고 있음 ○ 그동안 많은 문명사 연구자 등은 산업문명이 야기하는 다양한 문제를 제기하고 심각성에 경종을 울려왔는데, 현대 과학문명이 가져온 문제의 원인을 진단하고 그 대안으로 '생태문명'을 통합적인 우리 사회의 비전으로 할 것을 제시하고 있음 ○ 주로 산업문명 이후의 문명형태를 '첨단기술문명을 고도화' 하는 방안과 '생태문명으로의 전환'으로 대별하여 살펴보고 있지만, 현실에서는 생태문명에 기초하여 기술문명을 활용한 문명사적 대전환을 위해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강조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함 ○ 우리사회는 사회운동의 영역에서 다양한 실험과 대안적 실천이 확산되고 있는데, 생명을 존중하고 더불어 함께 사는 삶의 방식으로 '지속가능한 삶의 양식과 생태문명의 실현'이 시대적 과제로 부각되고 있음 ○ 그러나 지속가능한 삶의 양식과 생태문명의 실현은 기술문명이 강제해온 현실적인 제약(세계관의 문제)으로 인해, 지속적인 생활에서의 실천 활동으로 새로운 세계관을 만들어 가는 시대적 과업으로서의 지난한 과정이 수반되어야 함 ○ 그동안 산업문명의 방식에 따른 '성장과 개발'에 뒤쳐진 이른바 '낙후지역'에서는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 기술문명 방식의 성장전략을 벗어나 지역사회에 배태되어 있는 '생태문명의 지혜와 자원'을 재구조화하는 혁신적인 대응전략이 마련하고 대응해 나가야할 시점임 ○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문명사적인 대전환기에서 '지역을 중심으로 생태문명으로의 전환점'을 어떠한 방식으로 만들어 나갈 것인가에 관한 해법을 찾는데 목적이 있음 ○ 전라북도는 민선 7기 도정의 중점방향으로 '도농융합상생'에 주목하여 전라북도에 내재해 있는 오랜 역사·문화·전통을 배경으로 '생태문명과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결합한 혁신공간 재생을 검토하고 있음 ○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 배경에 근거하여 '전북대도약 정책의제'로 다루고 있는 '혁신공간 재생'의 관점에서 도유지인 '이서 묘포장 부지'를 문명사의 대전환을 위한 대표적인 혁신공간 재생의 거점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구상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음 ○ 구체적으로 도유지인 '이서 묘포장 부지(전주완주혁신도시 인접)'를 중심으로 생태문명화 혁신공간 거점으로 재생하고, '생태문명의 세계관과 사회체제'를 전라북도라는 물리적 공간과 사회적 영역’에서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기초구상과 대응전략을 마련하고자 함ko_K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과 목적 2. 연구내용과 방법 제2장. 생태문명 전환 주요논의 1. 코로나19와 생태적 전환 2. 근대문명의 의미와 반성 3. 생태문명 전환 논의근거 4. 동양 생태철학 노장사상 5. 생태문명 최근 논의동향 6. 생태문명 특징 정책방향 7. 생태문명 전환 실천사례 제3장. 생태문명 혁신거점 기초구상 1. 생태문명 기본방향 2. 혁신거점 기본개념 3. 혁신거점 구성요소 4. 전라북도 추진근거 5. 대상공간 현황여건 제4장. 생태문명 혁신거점 구성요소 1. 전시·체험 공간 2. 혁신·실험 공간 3. 주거·생활 공간 4. 힐링·휴식 공간 5. 연구·교육 공간 6. 교류·활동 공간 제5장. 생태문명 혁신거점 조성방안 1. 조성방향 기준 2. 정책화 방안 3. 확대·확장 전략 참고자료-
dc.publisher전북연구원ko_KR
dc.relation.ispartofseries정책연구;2020-PR-28-
dc.title이서 묘포장 부지활용 기초구상 연구ko_KR
dc.typeBookko_KR
dc.subject.keyword생태문명-
dc.subject.keyword생태학-
dc.subject.keyword생태철학-
dc.subject.keyword생태주의-
dc.subject.keyword혁신공간-
dc.subject.keyword공간계획-
dc.subject.keyword생태문명원-
dc.subject.keyword묘포장-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과제
Files in This Item:
20PR28_20JU07_이서 묘포장 부지활용 기초구상 연구_황영모.pdfDownload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