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장근 교수의 「동북아 문물교류의 허브 전북」을 읽고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송화섭 | - |
dc.date.accessioned | 2023-07-25T07:25:04Z | - |
dc.date.available | 2023-07-25T07:25:04Z | - |
dc.date.issued | 2022-12-31 | - |
dc.identifier.citation | 송화섭. (2022). 곽장근 교수의 「동북아 문물교류의 허브 전북」을 읽고서. 전북학연구, 7, 203-212. | - |
dc.identifier.issn | 2713-5772 | - |
dc.identifier.other | JSJ0708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949 | - |
dc.description.abstract | 이 책은 모두 제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전북 내륙문화와 해양문화의 융성, 제2장은 새만금, 동북아 해양문물 교류 허브, 제3장은 봉수왕국 전북 가야 다양성과 국제성, 제4장은 고고학으로 밝혀낸 후백제의 역동성, 제5장은 전북 고대문화 복원과 미래전략으로 짜여 있다. 한반도는 동북아시아 대륙의 귀퉁이에 위치하고 있기에 ‘동북아 문물교류의 허브’라는 주제는 잘 선정했지만, 어떻게 풀어낼지 궁금했고 배짱이 두둑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배짱은 내공이다. 내공은 하루 아침에 생겨나는게 아니다. 곽장근 교수의 내공은 수십년간 역사유적을 찾아 산과 계곡을 누비며 단련되어 왔음이 이 책의 행간마다 깊게 스며있다. 이러한 주제는 역사고고학자라고 모두 쓸수 있는게 아니다. 그런데 곽장근 교수는 역사 유적과 유물의 부름을 받고 과감하게 정리해놓고 있다.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해륙사관으로 동철서염론을 주창하다 2. 패총문화권과 세형동검문화권을 설정하다 3. 전횡과 준왕이 전라북도에 들어오다 4. 전북가야의 반파국과 기문국을 찾아내다 5. 전라북도는 철기문화 기반의 마한·가야·백제 중심권 6. 5∼6세기 철기문화가 동북아 문물교류 허브 전북을 꽃피웠다 | - |
dc.publisher |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 - |
dc.relation.ispartofseries | 전북학연구; 제7집 | - |
dc.rights | BY_NC_ND | - |
dc.title | 곽장근 교수의 「동북아 문물교류의 허브 전북」을 읽고서 | - |
dc.type | Articl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