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서남권 고지도 집성

Title
전라북도 서남권 고지도 집성
연구책임자
김동영
연구자
장충희; 이석형
키워드
고지도, 역사지리, 보전자산, 역사자원, 역사문화, 문화유산, 문화자원, 문화원형
Issue Date
2022-12-31
Publisher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Citation
김동영, 장충희, 이석형. (2022). 전라북도 서남권 고지도 집성.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전라북도 서남권 고지도 집성, 1-318.
Abstract
● 연구배경 및 목적
○ 공간은 인간의 삶이 전개된 장소로 많은 시간이 축적되어 있음. 공간에 대한 탐구를 통해 현재해당지역의 모습을 규정하거나 미래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음
○ 고지도는 지역의 생태환경을 구성하는 산과 강의 원형 상태?지명, 지방행정구역 및 문화유적의 표기 등을 제작한 것으로, 당시 공간을 인식한 체계를 복원할 수 있음
○ 시공간의 통합적 지역 연구로서 지역역사지리(regional historical geography)와 관련된 고지도 등을 통해 지역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현재적 입장에서 지역정체성 구성 가능
○ 전북 지역은 역사문화 방면에 강점을 가지고 많은 자원을 보유하고 있음. 자원의 분포도를 파악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본 자료인 고지도 등을 이용할 필요 있음
○ 하지만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 수집한 고지도는 대동여지도, 청구도, 1872년군현지도 등 유명한 지도 몇 개 정도만 이용하는 정도로 전반적인 조사 자체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음
○ 고지도 집성을 통해 역사문화 콘텐츠의 원형과 활용 가능성을 제고하고, 지역주민의 자기 지역에 대한 이해도 제고 및 자긍심 고취, 문화재 지정 및 발굴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목차
Ⅰ.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범위
Ⅱ. 현황 분석
1. 고지도의 분류 및 체계화
1) 분류 필요성
2) 대분류
3) 유형별 체계화
2. 서남권 고지도의 현황
1) 김제 권역
2) 부안 권역
3) 정읍 권역
4) 고창 권역
3. 서남권 고지도의 특징
1) 김제 권역
2) 부안 권역
3) 정읍 권역
4) 고창 권역
Ⅲ. 지역별 자료
1. 김제군 권역
1) 김제군
2) 금구현
3) 만경현
2. 부안현 권역
1) 부안현
3. 정읍현 권역
1) 고부군
2) 태인현
3) 정읍현
4. 고창현 권역
1) 흥덕현
2) 고창현
3) 무장현
Ⅳ. 결론
참고문헌
URI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955
Appears in Collections:
전북학연구센터 > 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2022-01_전라북도 서남권 고지도 집성.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