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청년의 결혼·출산·양육의 인식과 정책 방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주연-
dc.contributor.other최지훈-
dc.date.accessioned2025-11-05T04:42:20Z-
dc.date.available2025-11-05T04:42:20Z-
dc.date.issued2025-11-05-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493-
dc.description※ 이 자료는 기초과제로 수행한 “전북특별자치도 청년의 결혼·출산·양육 인식 및 정책 수요조사 연구” 일부를 재구성하여 작성하였음-
dc.description.abstract전북의 초저출생 및 인구감소 문제가 고착화되는 상황에서 재정적 지원만으로는 출산율 반등에 한계가 있다. 이에 청년층의 결혼·출산·양육에 대한 인식과 정책 수요를 면밀하게 파악하는 것이 핵심 요인으로 지목된다. 청년층의 결혼 및 출산·양육에 대한 변화하는 인식 파악은 현재와 미래 사회의 인구구조, 인구정책, 복지제도, 고용 및 주거 정책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기초 자료이자 정책 방향 설정의 출발점이 된다. 전북 청년층의 결혼 및 임신·출산과 양육의 인식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청년의 결혼 접근성 제고 및 관계 형성 지원, 둘째, 안정적 일자리와 주거 기반 마련을 통한 결혼과 출산 여건 개선, 셋째, 양육 및 돌봄 지원 확대와 일·가정양립 환경 조성, 넷째, 생애주기별 생식건강 및 임신·출산 지원 체계 강화, 마지막으로 성평등한 양육 환경 조성 및 다양한 가족 형태의 사회적 수용도 제고 등 5대 정책 방향과 각 정책 방향별 세부 과제들을 제시한다.ko_K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청년의 결혼·출산·양육 인식 조사의 중요성과 필요성 2. 전북자치도 청년의 결혼·출산·양육의 인식 수준 3. 전북 청년층의 인식·수요를 반영한 저출생 대응 정책 방향-
dc.publisher전북연구원ko_KR
dc.relation.ispartofseries정책브리프;67-
dc.title전북 청년의 결혼·출산·양육의 인식과 정책 방향ko_KR
dc.title.alternativeMarriage, Fertility, and Childcare: Perceptions Among Jeonbuk Youth and Policy Directions-
dc.typeArticleko_KR
dc.subject.keyword청년ko_KR
dc.subject.keyword청년정책ko_KR
dc.subject.keyword저출생ko_KR
dc.subject.keyword저출산ko_KR
dc.subject.keyword결혼ko_KR
dc.subject.keyword출산ko_KR
dc.subject.keyword양육ko_KR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정책브리프
Files in This Item:
정책브리프_67_전북 청년의 결혼 출산 양육의 인식과 정책 방향.pdfDownload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