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생물다양성 감소 대응과 지속가능발전 기여를 위한 국제사회의 「글로벌생물다양성전략(K-M GBF)」 수립(’22년), 우리나라의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수립(’23년)으로 광역지자체 차원에서 「지역생물다양성전략(LBSAP)」 수립의 필요성이 높아짐
○ 전북은 권역별로 풍부한 생태·환경자산을 보유하고 있고, 보호지역과 생태관광 등 생물다양성을 보전·활용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나, 현재까지 지역생물다양성전략이 수립되지 않아 생물다양성 현황을 체계적으로 파악 및 보전하고, 향후 생물다양성의 증진을 위한 신규 정책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발생하고 있음
○ 환경부는 ’24년 8월,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대응을 위한 지역생물다양성전략 수립 안내서」를 발간·배포하여 지자체에서 지역생물다양성전략을 수립하여 시행할 것을 요청함
○ 전북지역의 생물다양성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지속가능하게 보전하면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맞춤형 생물다양성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지역생물다양성전략의 수립이 필요함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지역생물다양성전략 수립을 위한 사전 연구로, 전북도와 14개 시·군의 생물다양성 현황을 파악하고,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활용 관련 정책을 점검하고자 함
○ 이를 통해 향후 국제사회와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전략 이행에 대응하면서 전북 특성에 부합한 지역생물다양성전략 수립을 위한 정책 방향과 실천과제를 제시하고자 함
목차
제1장 연구 개요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주요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4. 연구 기대효과
제2장 생물다양성 정책동향
1. 생물다양성 개념과 국내외 정책 동향
2. 국내외 지역생물다양성전략 수립 동향
제3장 전북자치도 생물다양성 현황과 주요 추진정책
1. 전북자치도 생물다양성 현황
2. 전북자치도 주요 추진정책
제4장 정책 추진상황 점검 및 전문가 의견수렴
1. 전북 생물다양성 정책 추진상황 점검
2. 지역 생물다양성 전문가 의견수렴
제5장 전북자치도 지역생물다양성전략 수립 정책방향
1. 정책 추진방향 도출
2. 목표별 정책과제 제안
3. 전략 수립 및 실천 로드맵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