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사회적경제 발전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20~2024)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황영모 | - |
dc.contributor.other | 배균기 | - |
dc.contributor.other | 김시백 | - |
dc.contributor.other | 이중섭 | - |
dc.contributor.other | 지규옥 | - |
dc.contributor.other | 최성환 | - |
dc.contributor.other | 송용호 | - |
dc.contributor.other | 이병훈 | - |
dc.contributor.other | 정호중 | - |
dc.date.accessioned | 2023-08-14T19:30:06Z | - |
dc.date.available | 2023-08-14T19:30:06Z | - |
dc.date.issued | 2019-11-29 | - |
dc.identifier.other | 19SU09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025 | - |
dc.description.abstract | ● 「전라북도사회적경제 기본조례」 에 근거한 계획 ○ 「전라북도 사회적경제 기본조례(제7조)」 (전라북도 사회적경제 발전 기본계획의 수립) ○ “전라북도 사회적경제 발전을 위해 중장기 정책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고, 5년마다 사회적경제 발전 기본계획을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수립하고 시행한다.” ● 정부의 통합적 사회적경제 정책대응 전략 요청 ○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100대 국정과제(2017.8.)’, ‘일자리위원회 관계부처 합동(2017.10.)’, ‘관계부처 합동 업무계획(2018)’ 등을 통해 통합적 사회적경제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 정부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사회서비스 혁신, 도시재생 등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과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어 정부 정책에 대응한 지역차원의 대응전략 필요함 ● 지역사회 사회적경제 활성화 현장요청에 부응 ○ 사회적경제 확장과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사회적경제 조직이 사업과 활동을 담당할 경영체로서 존속할 수 있는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함 ○ 사회적경제 조직의 사업과 활동, 생존에 필요한 자금, 인적자원, 기술, 경영 노하우 등을 공유하고 외부의 환경변화에 공동으로 대처해 나가야 하는데, 이는 결국 지역사회 차원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으로 귀결됨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연구개요 제2장. 사회적경제 주요특징 제3장. 사회적경제 정책동향 제4장. 전라북도 사회적경제 현황 제5장. 전북 사회적경제 조직진단 제6장. 전북 사회적경제 기본계획 전략체계 제7장. 전북 사회적경제 기본계획 추진전략 제8장. 예산 및 관리계획 참고자료 | - |
dc.publisher | 전라북도 | - |
dc.rights | BY_NC_ND | - |
dc.title | 전라북도 사회적경제 발전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20~2024) | - |
dc.type | Book | - |
dc.contributor.institution | 전북연구원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