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주거구조와 권역별 양상

Title
고창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주거구조와 권역별 양상
Other Titles
Proto-Three Kingdoms~Three Kingdoms Period Residential Structure and Regional Patterns in Gochang Area
연구책임자
김일중
키워드
고창지역, 주공배치, 사주공 내 면적, 권역별 양상
Issue Date
2023-08-31
Publisher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Citation
김일중. (2023). 고창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주거구조와 권역별 양상. 전북학연구, 9, 1-27.
Series/Report no.
전북학연구;제9집
Abstract
주거지는 거주를 목적으로 하는 건축물로서 일상적인 행위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생활흔적이 표현되는 공간이며, 마한과 백제의 성장과 소멸이라는 역사적인 흐름에 부합되는 기초자료이다. 지금까지 연구는 호남 또는 호서지역을 묶어 살펴보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원삼국시대는 소국단위의 정치체임으로 단위 지역별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여러 소국 중 모로비리국에 해당하는 고창지역의 주거지를 규모, 주공배치, 사주공 내 면적 등을 통해 권역별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주거지의 규모, 주공배치, 사주공 내 면적 등이 권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각 권역별로 생활상의 차이로 판단하며, 주변 분묘유적들의 성격들을 통해 권역별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부권역의 취락은 3~4세기대, 분묘는 5~6세기대에 집중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마한계 토착토기와 스에키계, 가야계 토기들이 출토되고 있어 여러 지역과의 교섭을 시사한다. 동남부권역은 3~4세기대는 분묘, 5~6세기대는 취락이 집중된다. 특히 토착토기와 스에키계, 가야계 토기들과 더불어 한성양식토기, 위세품들이 다수 출토되었다. 이는 백제, 일본 등 다양한 지역들과 밀접한 관계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동남부권역이 고창지역의 유력 집단으로 추정된다. 북부권역은 다른 권역과 달리 백제 표지유물들이 출토되고 백제의 영역과 지리적으로 근접하여 백제문물들을 빠르게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주거지 조사현황
3. 주거구조 분석
4. 권역별 양상
5. 맺음말
참고문헌
URI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149
ISSN
2713-5772
Appears in Collections:
전북학연구센터 > 전북학연구
Files in This Item:
JSJ0901_고창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주거구조와 권역별 양상_김일중.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