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흥백제국과 주류성

Title
부흥백제국과 주류성
연구책임자
김병남
Issue Date
2023-12-31
Publisher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Citation
김병남. (2023). 부흥백제국과 주류성.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전북학총서 16, 1-231.
Series/Report no.
전북학총서;16
목차
들어가는 말
발간사

Ⅰ. 부흥의 기반, 전북지역
1. 『삼국사기』에 보이는 마한
2. 산과 바다 사이에 산재한 소국가
3. 전북의 마한 소국
4. 전주·완주 지역의 실마리
5. 지반국과 백제 그리고 주류성
6. '국기영고(國基永固)'의 땅
7. 신라! 중방 고사성을 변화시키다

Ⅱ. 부흥세력의 태동
1. 백제 항복과 '흥망계절'의 의미
2. 점령군의 약탈과 횡포
3. '외세에 대한 저항'이라지만
4. 저항의 근원적 계기와 공포
5. 신라와 백제는 지독한 원수 사이
6. 막대기를 들고도 벌떼처럼 일어나다

Ⅲ. 부흥전쟁의 개시와 승리
1. ?? 660년의 '사비성' 탈환 노력과 실패
2. 부흥전쟁의 의미와 주도
3. 새로운 부흥전쟁의 중심지
4. 두량윤·고사비성의 위치
5. 661년 중방 고사성 일대의 각축
6. 두량윤·고사비성 전투의 여파

Ⅳ. 백제 부흥을 위한 대외적 노력
1. 661년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
2. 승리의 파장, 권력 분열의 조짐
3. 도침 주도의 외교 교섭
4. 당 조정의 철수 움직임
5. 백제·당 밀착의 파장
6. 신라의 반격과 도침의 몰락

Ⅴ. 부흥백제국의 수립과 실패
1. 엇갈리는 귀환 시점
2. 부여풍, 천신만고 끝에 돌아왔지만
3. 복신 주도 아래의 부흥백제국
4. 나·당의 반격과 백제국의 위기
5. 주류성은 방어하고 싸울 장소
6. 피성은 '의식(衣食)'을 해결할 곳
7. 피성 천도의 주도 세력
8. 천도 실패와 풍왕의 정변
9. 주류성은 어디인가?
10. 백(촌)강 전투와 주류성의 함락

Ⅵ. 부흥백제국과 '전북지역'의 역할
1. 부흥전쟁 관련 지명 현황
2. 부흥전쟁기 관련 지명의 이해
3. 백제국 재건과 '전북지역'의 역할

참고문헌
URI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249
ISBN
978-89-6612-513-5
Appears in Collections:
전북학연구센터 > 전북학총서
Files in This Item:
총서16_부흥백제국과 주류성_OP.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