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의 배경
○ ’01.7월 국내 리츠 도입 이후 ’23.7월 기준 총 355개의 리츠가 운영 중이며, 자산규모는 91.7조원으로 지속 성장하고 있음
○ 355개의 운용 리츠 중 170개(시장점유율 48.8%)가 주택에 투자되고 있으며, 공공임대주택의 주된 정책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
○ 리츠 투자 섹터는 다양화되고 있지만, 지역별 투자 현황은 서울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이며, 상장리츠의 투자자 층이 제한되어 있어 리츠시장 활성화에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음
○ 새만금 방조제 착공 이후 약 30년간 개발 장기화로 인한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긍정적 파급효과가 미진한 상황에서 새만금 민간투자 촉진을 위한 모멘텀 필요
○ 민간 개발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시하였으나, 대규모 투자에 대한 리스크 부담으로 사업 추진이 지연되고 있어 단일 대형 민간자본 투자 뿐만 아니라 소액 자본투자가 가능한 구조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
● 연구목적
○ 전북특별자치도 출범(’24.1.18)과 관련 특례법 개정 및 시행(’24.12.27)으로 전북을 대상으로 부동산간접투자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갖추게 됨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특례의 실효성을 높이고 새만금 및 전북 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부동산간접투자의 수요 공급 분석을 통해 정책으로 추진할 수 있는 방안과 이에 따른 특례의 보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음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및 추진체계
제2장 국내외 부동산간접투자 현황
1. 부동산간접투자 제도
2. 부동산간접투자 유형별 시장 분석
3. 리츠 활성화 관련 선행연구
4. 시사점
제3장 전북특별자치도 부동산간접투자 추진 방안
1. 리츠 공모 및 지분 한도 예외 투자가능기관 분석
2. 부동산간접투자 대상 유형
3. 전북형 리츠의 자산 운용 방향
제4장 전북특별자치도 부동산간접투자 활성화 지원 방안
1. 인센티브 지원 방안
2. 전북형 자산관리회사 설립
3. 부동산간접투자(리츠) 사업모델 다양화
4. 전북특별자치도 부동산간접투자 특례 보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