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기구 유치를 위한 FAO세계농업대학 설립 중장기 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동기-
dc.contributor.other임승현-
dc.contributor.other김시백-
dc.contributor.other배균기-
dc.contributor.other서환석-
dc.contributor.other백기홍-
dc.date.accessioned2025-04-21T11:45:04Z-
dc.date.accessioned2025-04-21T11:45:10Z-
dc.date.available2025-04-21T11:45:04Z-
dc.date.available2025-04-21T11:45:10Z-
dc.date.issued2021-11-30-
dc.identifier.isbn978-89-6612-361-2 (PDF)-
dc.identifier.other21GI04-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435-
dc.description.abstract●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국제기구는 글로벌 브랜드를 형성하고 글로벌 인적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제협력 및 국제 관련 활동을 수행하게 되어 지역의 일자리 창출 및 경제적 효과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 전라북도는 오랫동안 지역의 여건과 적합한 국제기구의 유치 필요성이 제기됨. 국제교류를 활발하게 하고, 국제교류 전담 기구를 설립하는 등 글로벌 브랜드 형성를 위해 정책적인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음 ○ 전라북도는 한국의 대표적인 농업도시로서 성장과 농업기반을 선진화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농업의 혁신 성장을 추진하고 있음. 전북은 세계적인 수준의 농업 관련 국가기관 및 대학 등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농업 교육 및 연구 인프라가 이미 구축되어 있어 세계농업대학으로 최적 입지 및 여건을 보유하고 있음 ○ 본 연구는 FAO 세계농업대학의 대한민국 설립 필요성과 더불어 전라북도에 설립될 경우 세계농업대학의 운영 방안 등 중장기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음 ○ 국제기구인 FAO 세계농업대학이 대한민국과 전라북도에 설립됨으로써 세계적인 농업 국가 및 농업 도시로서 글로벌 브랜드를 형성하고, 세계적인 농업 인력 양성 등이 이루어지는 지역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함ko_K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세계 농업의 현황 및 여건 분석 제1절 세계 농업생산 동향 및 정책 환경 변화 제2절 세계 농업생산의 수요전망 및 육성기관 제3장 UN 산하 대학 사례분석 제1절 IMO 세계해사대학(WMU, World Maritime University) 제2절 UN 세계평화대학(UPEACE, University for Peace) 제3절 FAO 세계수산대학 시범 사업(부산) 제4장 세계농업대학 설립 필요성과 유치여건 및 전북 입지 타당성 제1절 UN 식량농업기구(FAO)의 기능과 역할 제2절 세계농업대학 설립 필요성 제3절 대한민국의 세계농업대학 유치 여건 제4절 세계농업대학의 전북 입지 타당성 제5절 종합 여건 분석 제5장 세계농업대학 설립 및 운영방안 제1절 세계농업대학 설립방안 제2절 세계농업대학 운영방안 제3절 입지분석 제4절 캠퍼스 조성 및 건축비 산정 제5절 운영예산 추계 제6장 세계농업대학 설립 및 운영 기대효과 제1절 분석 방법 개요 제2절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 제3절 정성적 기대효과 제7장 요 약 및 정책 제언 제1절 요 약 제2절 정책 제언 참고문헌-
dc.publisher전북연구원ko_KR
dc.relation.ispartofseries기획연구;2021-SR-04-
dc.title국제기구 유치를 위한 FAO세계농업대학 설립 중장기 방안 연구ko_KR
dc.typeBookko_KR
dc.subject.keywordFAOko_KR
dc.subject.keyword유엔식량농업기구ko_KR
dc.subject.keyword국제기구ko_KR
dc.subject.keyword국제교류ko_KR
dc.subject.keyword세계농업대학ko_KR
dc.subject.keywordODAko_KR
dc.subject.keyword공적개발원조ko_KR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기획과제
연구보고서 > 기획과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