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국제기구는 글로벌 브랜드를 형성하고 글로벌 인적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제협력 및 국제 관련 활동을 수행하게 되어 지역의 일자리 창출 및 경제적 효과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 전라북도는 오랫동안 지역의 여건과 적합한 국제기구의 유치 필요성이 제기됨. 국제교류를 활발하게 하고, 국제교류 전담 기구를 설립하는 등 글로벌 브랜드 형성를 위해 정책적인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음
○ 전라북도는 한국의 대표적인 농업도시로서 성장과 농업기반을 선진화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농업의 혁신 성장을 추진하고 있음. 전북은 세계적인 수준의 농업 관련 국가기관 및 대학 등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농업 교육 및 연구 인프라가 이미 구축되어 있어 세계농업대학으로 최적 입지 및 여건을 보유하고 있음
○ 본 연구는 FAO 세계농업대학의 대한민국 설립 필요성과 더불어 전라북도에 설립될 경우 세계농업대학의 운영 방안 등 중장기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음
○ 국제기구인 FAO 세계농업대학이 대한민국과 전라북도에 설립됨으로써 세계적인 농업 국가 및 농업 도시로서 글로벌 브랜드를 형성하고, 세계적인 농업 인력 양성 등이 이루어지는 지역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함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세계 농업의 현황 및 여건 분석
제1절 세계 농업생산 동향 및 정책 환경 변화
제2절 세계 농업생산의 수요전망 및 육성기관
제3장 UN 산하 대학 사례분석
제1절 IMO 세계해사대학(WMU, World Maritime University)
제2절 UN 세계평화대학(UPEACE, University for Peace)
제3절 FAO 세계수산대학 시범 사업(부산)
제4장 세계농업대학 설립 필요성과 유치여건 및 전북 입지 타당성
제1절 UN 식량농업기구(FAO)의 기능과 역할
제2절 세계농업대학 설립 필요성
제3절 대한민국의 세계농업대학 유치 여건
제4절 세계농업대학의 전북 입지 타당성
제5절 종합 여건 분석
제5장 세계농업대학 설립 및 운영방안
제1절 세계농업대학 설립방안
제2절 세계농업대학 운영방안
제3절 입지분석
제4절 캠퍼스 조성 및 건축비 산정
제5절 운영예산 추계
제6장 세계농업대학 설립 및 운영 기대효과
제1절 분석 방법 개요
제2절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
제3절 정성적 기대효과
제7장 요 약 및 정책 제언
제1절 요 약
제2절 정책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