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찬. (2024). 지도와 유적으로 보는 전주 후백제 왕도공간구조. 전북학연구, 13, 103-140.
Series/Report no.
전북학연구; 제13집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후백제 왕도 전주의 지형구조와 후백제 유적의 조사성과 및 분포 양상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통하여 전주 후백제 왕도의 도성구조를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① 후백제 왕도의 영역 ② 후백제 왕도조영축 ③ 후백제 왕도의 영역구조와 도성벽 ④ 왕궁 위치 ⑤ 도로체계와 도성시설 배치양상 등은 논의의 중심에 위치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백제 왕도영역은 전주분지를 감싸고도는 수계와 간선지맥을 활용하여 설정되었으며 사방 약 4,000m 사방의 규모가 상정된다. 후백제 전주도성은 반태산과 오목대를 연결하는 남북방향의 왕도조영축을 기준으로 동쪽 구릉지구역에 도성벽을 축조하여 도성시설을 배치하고 서쪽 평지구역에 는 별도의 성곽을 축조하지 않고 전주천과 제방을 활용하여 시가구역을 형성하는 동성서곽(東城西郭)의 도성형제를 취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쪽 구릉지구역은 동고산성을 포함하여 중성-내성-왕궁구역으로 이어지는 다중적인 공간구획을 이루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후백제 왕도영역 일대의 지형구조와 문헌기록, 도시평면구조, 유적 조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후백제 왕궁지는 반태산 동정리구역 일대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풍남초등학교 일대 역시 왕궁지가 위치할 수 있는 여건을 지니고 있다. 반태산 동정리구역을 왕궁지로 비정할 경우 왕궁이 북쪽에 위치하고 전라감영 일대에 행정시설이 위치하는 좌북남조(座北南朝)의 도성격국이 상정된다. 한편 풍남초등학교 일대를 왕궁지로 비정할 경우 동쪽에 궁이 위치하고 서쪽에 행정시설과 생활구역이 위치하는 궁동조서(宮東朝西)의 도성구조가 상정된다. 다만 후백제 전주도성의 추정 왕궁지에 대한 조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추후 발굴조사를 통하여 확인이 필요한 상황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고대 도성구조의 기반요소로서 지형
3. 지형과 유적으로 보는 후백제 전주왕도의 기본골격
4. 지형과 유적으로 보는 후백제 전주도성구조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