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훤의 전주 定都와 그 의미

Title
견훤의 전주 定都와 그 의미
연구책임자
허인욱
키워드
후백제, 전주, 광주, 견훤
Issue Date
2024-12-31
Publisher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Citation
허인욱. (2024). 견훤의 전주 정도와 그 의미. 전북학연구, 13, 141-160.
Series/Report no.
전북학연구; 제13집
Abstract
후백제는 936년까지 짧은 시간 존재했고, 관련 기록이 그리 많지 않은 까닭에 성립과 발전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알기 어려운 부분들이 존재한다. 견훤의 세력 형성 과정에 대해서는 서남주현에서 광주로 그리고 다시 전주의 순서로 전개된 것으로 이해하여 왔다. 이는 견훤이 892년에 처음으로 光州에 도읍을 정하였다는 『삼국유사』 왕력과 견훤이 습격하여 점거한 후에 ‘후백제’라 일컬었으며, 얼마 안 되어 전주로 도읍을 옮겼다는 『고려사』 지리지의 서술이 큰 역할을 했다. 하지만 『삼국사기』 신라 본기 등에는 전주를 근거지로 삼아 광주와 그 동남주현을 세력화했다고 볼 여지가 있는 기록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견훤의 백제 부흥과 전주를 중심으로 한 견훤의 국가 건설은 900년에 전주에 도읍을 한 이후에 가서야 공식화했다. 그는 고려시대 전부터 내려오던 마한-백제로 이어지 는 역사인식을 명분으로, 전주에 도읍을 하였다. 그리고 그 이후 어느 순간부터 대왕이라는 군주호를 쓰거나, 정개라는 연호를 제정하였는데, 이는 독립국의 군주인 대왕이 자, 한반도 전체의 주인으로서 자부심이 표현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견훤의 세력 형성 과정과 광주
3. 전주 정도와 백제계승의식
4. 맺음말
참고문헌
URI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441
ISSN
2713-5772
Appears in Collections:
전북학연구센터 > 전북학연구
Files in This Item:
JJS1305_견훤의 전주 定都와 그 의미_허인욱.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