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후백제 왕궁의 조영 특성 입지와 건축을 중심으로

Title
전주 후백제 왕궁의 조영 특성 입지와 건축을 중심으로
연구책임자
김재홍
키워드
후백제, 왕궁, 오월, 방격, 구획, 전주천
Issue Date
2024-12-31
Publisher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Citation
김재홍. (2024). 전주 후백제 왕궁의 조영 특성 : 입지와 건축을 중심으로 . 전북학연구, 13, 191-219.
Series/Report no.
전북학연구; 제13집
Abstract
이 글은 후백제 왕궁의 실체에 접근하기 위하여 그 입지와 구조, 건축을 중심으로 왕궁의 조영 특성을 검토하였다. 문헌 사료를 기초로 하여 지적도 및 항공사진, 고고학 조사 성과를 분석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후백제 왕궁은 『삼국유사』 후백제 견훤조에 잘 보이는데, 침전, 정전(宮), 궁정 (宮庭) 등이 있었다. 국왕이 정사를 보는 정전과 휴식이나 잠을 자는 침전이 구분되어 있었으며, 문과 담장을 사이에 두고 격리된 공간이었다. 후백제 왕궁은 현재 전주천 주변의 전주부성이 있었던 공간이 아니라 방격 구획의 동쪽 바깥의 구릉지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왕궁의 배후산성으로는 남쪽의 동고산성이 있어서 방어 및 물류 창고로 기능하였다. 후백제 왕궁은 신라 완산주의 주치에 있었던 방격 구획을 관청이나 시가지로 활 용하였다. 후백제는 전주천의 범람을 막아 저습지를 개발하면서 방격 구획을 확장하고 구릉지에 왕궁을 조성하였다. 후백제 왕궁은 신라 왕궁, 중국 오월의 왕궁에서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왕궁의 구조와 입지를 구성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후백제 왕궁의 구조와 입지
3. 후백제 왕궁의 전제 조건
4. 맺음말
참고문헌
URI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443
ISSN
2713-5772
Appears in Collections:
전북학연구센터 > 전북학연구
Files in This Item:
JJS1307_전주 후백제 왕궁의 조영 특성-입지와 건축을 중심으로_김재홍.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