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 배경 및 목적
○ (배경) 전북은 ’15년 출생아 수 1만 5천 명 이하 기록, ’16년 인구데드크로스 현상, ’19년 합계출산율 0.97명으로 하락, ’23년 합계출산율 0.78명으로 17개 시도 중 13번째, 광역도 중 가장 저조하다. 저출생 주원인은 일자리, 주거, 교육 등 구조적 측면과 함께 개인의 인식 변화도 결혼·출산·양육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혼·출산·양육의 인식과 더불어 정책적 수요를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 (목적) 이에 결혼과 임신·출산 및 양육의 핵심 세대인 청년층을 대상으로 저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결혼·출산·양육에 대한 인식과 저출생 정책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실효성 및 체감도 높은 저출산 대응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제2장 전북 청년과 저출생의 현주소
1. 지방소멸과 청년의 인구변화
2. 전북 결혼·출산·양육 환경 분석
3. 전국과 전북의 청년층 인식비교(2차자료 분석)
4. 요약 및 시사점
제3장 저출생 관련 지원 정책 현황 및 특성
1. 중앙정부의 정책 현황 및 특성
2. 전북의 정책 현황 및 특성
3. 요약 및 시사점
제4장 전북 청년의 결혼·출산·양육에 대한 인식 및 정책 수요 분석
1. 전북 청년 대상 인식 및 정책 수요조사
2. 전북 청년 대상 심층면접조사
3. 요약 및 시사점
제5장 전북 저출생 대응 정책 방향 및 중점과제
1. 전북 청년의 결혼·출산·양육 인식 특성과 정책 수요
2. 전북 저출생 대응 정책 방향 및 세부 추진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