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조에 나타난 ‘비’의 문학적 수용과 의미

Title
고시조에 나타난 ‘비’의 문학적 수용과 의미
연구책임자
변승구
키워드
시조, 비, 유형, 수용, 역할, 문학
Issue Date
2025-04-30
Publisher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Citation
변승구. (2025). 고시조에 나타난 ‘비’의 문학적 수용과 의미. 전북학연구, 14, 167-193.
Series/Report no.
전북학연구; 제14집
Abstract
본 고는 시조에 수용된 ‘비’를 작품과 유형, 그리고 문학적 수용과 역할을 중심으로 살피고 의미를 밝혀 보았다. 먼저 시조에 수용된 ‘비’의 작품 수는 총 280수이며 단시조가 244수이고 장시조가 36수다. 그리고 ‘비’를 소재로 한 작가는 84명이며 작품 수는 153수이고 가장 많은 작품을 쓴 작가는 安瑞羽로 35수이다. 다음으로 각 章의 출현 양상은 총 295회가 확인되며 단독이 265회, 중복이 30회이다. 가장 많은 章은 初章으로 126수가 확인된다. 그리고 중복은 대동소이하게 나타난다. 한편 시조의 핵심처라 할 수 있는 終章 初句에 ‘비’가 수용된 것은 총 7개의 어휘에 9회이고 가장 많은 것은 ‘봄비에’이다. 다음으로 시조에 수용된 ‘비’의 유형을 살펴보았는데 대분류는 8개이며 중분류인 어휘는 55개이며 총빈도수는 295회이다. 가장 많은 유형은 ‘단독’으로 89회이고 다음은 ‘조합’으로 56회이며 ‘雨種’은 58회, ‘時間’과 ‘狀態는 26회, ‘雨質’ 은 19회, ‘季節雨’는 10회이며 기타는 11회이다. 셋째로 시조에 수용된 ‘비’의 수용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먼저 ‘문학적 비유로서 수용과 역할’은 ‘눈물의 비유’와 ‘시련의 비유’, 그리고 ‘君恩과 統治의 비유’를 살펴 보았다. 다음으로 ‘문학적 장치로서의 수용과 역할’은 ‘시적 분위기 조성’과 ‘시적 시간의 설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시조에 나타난 ‘비’는 문학적 수용과 역할로서 작가의 시상이나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출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하겠다. 끝으로 고시조에 수용된 ‘비’의 의미를 재조명해 보았는데 먼저 타 문학보다 시조에 나타난 ‘비’가 다각적이고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과 ‘비를 통해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움을 구체화시키고 있는 점, 그리고 시조의 문학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점 등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고시조에 나타난 ‘비’의 자료 검토
3. 고시조에 나타난 ‘비’의 수용과 역할
4. 고시조에 수용된 ‘비’의 문학적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URI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458
ISSN
2713-5772
Appears in Collections:
전북학연구센터 > 전북학연구
Files in This Item:
JJS1406_고시조에 나타난 비의 문학적 수용과 의미_변승구.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