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은 2002년 ‘식-농 재생계획’ 수립을 통해 중앙정부 차원에서 지산지소(地産地消) 운동을 본격적으로 지원
○ 미국은 오바마 정부가 연방정부 차원에서 종합적인 로컬푸드 정책 수립 시행
○ 영국은 정부기관, 민간연구소, NPO 등의 연합으로 이루어진 가장 대표적인 거버넌스 조직로컬푸드 워크(Making Local Food Work)를 통해 로컬푸드 커뮤니티 사업체(사회적 기업)나 프로젝트 컨설팅 지원
○ 로컬푸드는 지역 농산물 소비증가로 지역경제와 일자리창출에 직접적으로 기여함
- 예를 들어 가계 음식료품비 770만원 중 10%를 로컬푸드 소비에 사용한다면 (수입 농식품 등을 지역내 농식품으로 대체한다면), 전라북도는 로컬푸드 판매로 연 5000억의 소득이 창출(770만원 × 10% × 66만가구)
○ 승수효과 통해 로컬푸드의 경제적 효과가 지역경제에 파급?확대 재생산
- 지역생산-지역소비의 선순환으로 기존 농식품유통 구조에 비해 2~3배의 승수효과가 발생
○ 농가직판 활성화를 통해 지역내 관광·식당과의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 발생, 식생활교육서비스·로컬푸드 정보제공 등 신규 일자리 영역을 창출
○ 환경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로컬푸드를 통해 현재 7,000km의 농식품 수송거리를 70km 이내로 줄이면, 푸드마일리지가 99% 감소되는 효과
● 연구목적
○ 로컬푸드 직매장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가면서, 기존 시장과의 차별성을 확대하기 위한 핵심 전략 도출
○ 로컬푸드 직매장 소비자 특성을 분석하여 목표시장에 따른 소비자 전략을 세분화하여 로컬푸드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
- 전라북도의 로컬푸드 직매장 소비자 특성 분석을 통하여 로컬푸드 직매장의 소비자 유인을 높이기 위한 마케팅 전략 방안 도출
○ 로컬푸드 직매장의 경제적 효과 분석에 대한 직접적, 간접적 효과 분석을 통해 로컬푸드의 경제적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대응 방안 마련
- 로컬푸드 직매장의 경제적 효과 분석을 통해 현재까지 지원한 로컬푸드 지원정책의 정당성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전략 도출
○ 로컬푸드 소비자 특성과 경제적 효과 분석을 통해 로컬푸드 직매장의 육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전라북도의 로컬푸드 직매장 소비자 특성과 경제적 효과 분석을 통하여 로컬푸드 직매장의 경제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마케팅 전략 방안 도출
- 사회적 · 경제적 ·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민선6기 전북형 로컬푸드 정책방향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