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백제 고고학의 연구현황과 과제

Title
후백제 고고학의 연구현황과 과제
연구책임자
차인국
키워드
후백제, 고고학, 명문와, 전주성(全州城), 왕(王), 국(國)
Issue Date
2021-12-31
Publisher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Citation
차인국. (2021). 후백제 고고학의 연구현황과 과제. 전북학연구, 4, 25-55.
Series/Report no.
전북학연구; 제4집
Abstract
후백제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시대로 이행하는 시기에 최소 37년 이상 존속했던 국가였다. 국가적 시설인 도성, 산성, 왕릉, 종교와 관련된 다양한 물질문화가 형성되었을 것인데, 아직 그 실체는 명확하지 않다. 최근 후백제의 유적으로 비정되는 유적에 대한 조사성과가 축적되면서, 후백제와 관련된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이 글에서는 후백제와 관련된 것으로 언급되는 유적을 도성, 산성, 생산유적, 사찰, 건물지 등으로 구분하여 소개한다. 다음으로 후백제 고고학의 주요 쟁점인 전주 동고산성, 광양 마로산성, 장수 침령산성, 합미산성, 진안 도통리 청자요지, ‘전주성(全州城)’ 명 기와 등을 살펴보았다.

후백제 고고학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는 후백제의 정통성을 드러내는 표상적 물질이 부재하다는 점인데, 과거 지배층의 전유물인 기와를 대상으로 후백제 고유의 유물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全州城’, ‘王’, ‘國’ 등의 기와는 9세기 중반 이후에 제작되었는데, 공반된 문양과 단어가 지닌 의미를 더하여 후백제의 표상적 유물로 판단하였다. 후백제 왕실 비보사찰로 비정되는 완주 봉림사지의 나말여초기 기와 역시 후백제와 관련이 높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후백제의 표상적 유물을 종합하여 전주 인근에서 후백제의 중심권역을 추정해보고 그 기능을 살펴보았다.
목차
1. 머리말
2. 후백제 관련 유적 검토
3. 유적 해석의 상반된 시각
4. 후백제 고고학의 과제
5. 맺음말
URI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811
ISSN
2713-5772
Appears in Collections:
전북학연구센터 > 전북학연구
Files in This Item:
JSJ0402_후백제 고고학의 연구현황과 과제.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