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배경 및 목적
○ 전북특별자치도는 2015년 이후 제조업 내 비중이 큰 일부 대기업들의 이탈로 인해 제조업 부가가치 창출 실적이 과소평가된 측면이 있음
○ 반면, 전라남도는 정유산업의 비중이 높아, 지난 20여 년간 글로벌 정유산업의 호조로 인해 제조업 부가가치 창출 실적이 과대평가된 경향이 있음
○ 지역 경제 성장은 특정 제조업이 주도하는 산업 성장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전북특별자치도는 현재의 제조업 내 업종 비중과 무관하게 신성장 제조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유치 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성장 제조업을 제조업 내 부가가치 비중이 크고(중기적 성장성) 동시에 부가가치 증가율이 높은(10년간 지속 성장성) 산업으로 정의하고, 전국 제조업 80개 소분류 업종 중 10개의 신성장 제조업을 추출하여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주요 내용
제2장 지역별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변화 원인 분석
1. 전국 권역별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변화 추이 및 시사점
2. 도 지역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변화 원인 분석 및 시사점
제3장 부가가치 창출 기반 신성장 제조업 업종 추출
1. 신성장 제조업의 정의 및 부가가치 비중, 증가율의 중요성과 한계
2. 장기·중기 부가가치 창출 실적을 토대로 신성장 제조업 업종 추출
제4장 신성장 제조업 성장 현황 및 밸류체인 강화 가능성 검토
1. 반도체 제조업
2. 반도체 제조용 기계 제조업
3. 이차전지 제조업
4. 기타 화학제품 제조업
5. 의약품 제조업
6. 기타 식품 제조업
7. 특수목적용 기계 제조업
8. 기초 의약 물질 및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9. 측정, 시험, 항해, 제어 및 기타 정밀기기 제조업
10. 의료용 기기 제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