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 전북 유학자 김택술의 일기와 그 의미

Title
근현대 전북 유학자 김택술의 일기와 그 의미
연구책임자
김미선
키워드
후창 김택술, 후창집, 일기, 간재 전우, 일제강점기, 명승 유람
Issue Date
2025-04-30
Publisher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Citation
김미선. (2025). 근현대 전북 유학자 김택술의 일기와 그 의미. 전북학연구, 14, 55-82.
Series/Report no.
전북학연구; 제14집
Abstract
본 논문은 근현대 전북 유학자 후창(後滄) 김택술(金澤述, 1884~1954)의 일기에 대한 본격적인 첫 연구로서, 김택술 일기의 내용적 특징을 파악하고 의미를 제시하였다. 김택술의 문집 『후창집(後滄集)』에는 , , , , , , , 등 8편의 일기가 수록되어 있었다. 8편의 일기를 살펴본 결과 내용적 특징을 세 가지로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스승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1922)와 관련한 여러 경험을 담고 있었다. 전우를 처음 만났을 때의 일은 에, 전우가 임종을 맞고 장례가 마무리될 때 까지의 전체 과정은 에 담겨 있었다. 둘째, 일제강점기의 시국과 당대 사람들의 미시적인 삶을 다양하게 담고 있었다. 특히 에는 일제에 의해 고초를 겪은 일이 핵심적으로 등장하였다. 셋째, 화양동, 금강산, 지리산 등 명승 유람을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유람 중 지은 시를 담고 있었다. ··은 유람을 기록한 것으로, 이 3편의 분량이 다른 5편의 약 2배에 이를 정도로 풍부하였다. 이렇듯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는 김택술의 일기는 20세기 초반 한문일기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의미가 있었다. 또한 김택술의 일기는 일제강점기 유학자의 다양한 면모를 포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김택술과 『후창집』 소재 일기
3. 김택술 일기의 내용적 특징
4. 김택술 일기가 갖는 의미
5. 맺음말
참고문헌
URI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455
ISSN
2713-5772
Appears in Collections:
전북학연구센터 > 전북학연구
Files in This Item:
JJS1403_근현대 전북 유학자 김택술의 일기와 그 의미_김미선.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