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적
○ 전북특별자치도 생활환경과 물류 기반 조건을 반영하여 생활물류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함
○ 다양한 수요층에 대한 맞춤형 물류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지역 내 물류 격차를 해소하고 생활 편익을 증진하고자 함
○ 기존 민간 중심의 물류서비스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물류를 복지·보건·경제·산업 등 지역정책과의 연계해 새로운 공공서비스 정책영역으로 확장하고자 함
● 연구방법
○ 문헌조사, 정책 사례 분석, 수요자 유형별 조사 등을 통해 생활물류서비스의 지역별 수요와 운영 여건을 체계적으로 진단함
○ 도출된 9대 전략 과제를 바탕으로 공통 기반 요소와 유형별 차별화를 정리하고, 3단계 추진 전략과 민관 거버넌스 체계를 설계함
● 결론 및 정책제언
○ 민관 협력 TF 구성 및 실행조직 지정으로 정책 설계부터 실행까지 지자체, 연구기관, 물류기업, 협동조합 등 지역 내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민관 TF를 구성하여 공모사업 대비, 실증 기획, 시군 조율 등 사전 대응체계를 마련함
○ 디지털 통합 플랫폼 구축 시범사업 예산을 확보하여 수거·배송·정산·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공모사업 대응 기반을 마련함
○ 시군 분권형 생활물류 거버넌스 체계 조성 및 제도화하여, 시군별 수요와 여건에 맞는 역할 조정, 조례 제정, 거점계획 등을 사전 정비하여 생활물류 정책의 지속성과 지역 확산력을 확보함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와 기대효과
제2장 전북특별자치도 물류산업 현황과 과제
1. 전북특별자치도 물류산업 현황
2. 물류산업 관련 정책 및 지원 현황
3. 전북특별자치도 물류산업 발전의 주요 과제
제3장 선행연구와 사례검토
1. 선행연구
2. 생활물류 실증사업 사례검토
3. 시사점
제4장 전북특별자치도 생활물류 사업화 방향 검토
1. 전북특별자치도 생활물류 수요조사
2. 전북특별자치도 생활물류서비스 사업화 여건 분석
3. 전북특별자치도 생활물류서비스 사업화 방향 검토
제5장 전북형 생활물류서비스 사업화 모델과 운영체계
1. 전북형 생활물류서비스 사업화 전략 제안
2. 전북형 생활물류서비스 사업화 추진 과제 제안
3. 전북형 생활물류서비스 사업화 모델 운영체계 제안